올해 2분기 전 가구 평균 소득이 4.8% 늘었지만 주거 형태로 보면 ‘전월세 가구’ 소득은 오히려 감소하거나 증가세가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와 여당은 14조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이 전 가구 소득 추락을 막았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정작 서민들이 주로 사는 전월세 가구의 살림살이는 크게 나아지지 않은 것이다.
30일 국민일보가 통계청의 국가통계포털사이트를 통해 올해 2분기 전체 가구를 ‘자가, 전세, 월세’ 형태도 재배열한 결과 전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62만738원, 전년 대비 6.9% 증가했다. 그러나 1분기 소득이 9.3%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둔화했다. 전세 가구는 2분기에 재난지원금 등으로 약 89만6497원(전년 대비 123.5% 증가)의 지원금을 받았지만 전 분기보다 소득이 덜 증가했다.
심지어 월세 가구는 소득이 감소했다. 2분기 월세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407만3022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0.6% 줄었다. 1분기(-5.9%)에 이어 감소세를 이어갔다. 월세 가구도 정부 등으로부터 약 82만5866원, 전년 대비 무려 113.3% 많은 지원금을 받았지만 소득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월세 가구는 실제 주거비 지출이 월평균 35만5037원으로 소득의 약 8.7%를 차지했다. 반면 자가 가구는 2분기에 월평균 소득이 전년 대비 5.0%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1분기(3.2%)보다도 소득 증가율이 높았다.
올해 2분기는 전체 가구 평균과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이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해 재난지원금이 효과를 발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또 이들 가구의 소득 증가 폭은 모두 1분기 대비 컸다. 그러나 전월세 가구로 재배열하면 반대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전월세 가구에는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이 많기 때문에 주거 형태로 재배열하면 2분기 소득이 감소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임대료 폭증의 고통을 겪고 있는 전월세 가구 등 취약계층은 재난지원금에도 소득이 하락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에 2차 재난지원금이 어려운 계층에게 더 집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질 수 있다. 여당 역시 이낙연 신임 당대표를 중심으로 선별 지급 의견이 나오고 있다.
2차 재난지원금에 선을 긋던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7일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까지 가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심각할 것”이라며 “재원 소요 여부에 대해 추가적인 판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세종=전슬기 기자 sgj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