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규제의 영향으로 매물이 급격히 줄어든 가운데 서울 아파트 단지 곳곳에서 신고가 거래가 속출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거래가 줄어든 상황에서 신고가와 급매물이 시장가격을 왜곡시켰던 상반기의 혼란이 되풀이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30일 국토교통부 아파트 실거래 조회에 따르면 서울 노원구 신동아아파트 101.94㎡(전용면적)는 지난 1일 10억7500만원에 거래됐다. 같은 면적이 지난 2월에는 9억6000만원, 3월에는 9억1000만원에 거래된 점을 감안하면 1억원 이상 가격이 올라 신고가를 기록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지난 6일 101㎡(8층)가 22억2000만원에 거래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지난달 18억원에 거래된 개포주공 5단지 61.19㎡도 지난 8일 19억원에 거래됐다.
신고가 열풍은 최근 부동산 시장의 다소 얼어붙은 분위기와는 다소 대조된다. 서울시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이달 서울시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2145건이었다. 신고기한이 계약일로부터 30일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아직 미신고 물량이 많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정부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난달 1만616건에 비하면 거래가 현저히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김인만 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다주택자들이 지방 주택을 매도하거나 친족에게 증여하는 식으로 버티면서 (서울의) 똘똘한 한 채의 가치가 오르고 있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신고가와 급매물 등 시장 왜곡 현상이 겹치면 부동산 시장에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다. 서진형 경인여대 경영학과 교수(대한부동산학회장)는 “일부에선 거래가 줄어든 ‘초거래절벽 상태’를 시장 안정으로 보는데 통계 모수가 적은 상태에서 이런 판단을 내리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