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7일 파업에 나선 의료계를 향해 “이 코로나 위기 상황에서 의료인들이 의료 현장을 떠난다는 건 전시 상황에서 군인들이 전장을 이탈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라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함께한 간담회에서 “의료계의 집단행동이 국민들에게 더 큰 불안과 고통을 주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비유를 하자면 사상 최대의 화재가 발생했는데 소방관들이 그 화재 앞에서 파업을 하는 것이나 진배없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의료계와의 대화 가능성은 열어뒀지만 형사처벌과 행정처분 등 강수를 쓸 수 있다는 경고도 계속했다. 문 대통령은 “의료계가 코로나 때문에 국민들이 겪고 있는 고통을 결코 외면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정부로서는 의료계와 진정성 있는 대화를 나누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법과 원칙대로 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전날 “원칙적 법 집행을 통해 강력히 대처하라”고 지시한 데 이어 엄정 대응 입장을 재차 밝힌 것이다.
여당 의원들도 의사 파업에 대해 “정책 추진을 백지화하라는 것은 이해집단의 몽니 부리기”(홍익표 의원) “방역은 팽개치고 기득권 지키기에 몰두하는 의사 바이러스”(김경협 의원)라고 맹비난했다.
반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의료계에 파업 중단을 요청하면서도 이번 사태의 책임이 정부에 있다고 지적했다. 안 대표는 페이스북에서 “국민 건강을 볼모로 잡고 있는 것은 의료진이 아니라 황당한 해명과 부절적한 여론전으로 사태를 악화시키고 있는 정부임이 분명하다”며 “마치 집에 불이 났는데 가장이라는 사람이 물통이 아니라 기름병을 들고 나타난 꼴”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무조건 찍어 누르고 윽박지르면 문제가 해결되느냐. 이 정권은 윽박질 정권이냐”고 따졌다.
다만 안 대표는 의료계를 향해선 “만에 하나 살아날 수 있는데 그 기회를 날려 버리는 일이 생긴다면 의료진에 걸었던 희망은 절망과 원망으로 바뀔 것”이라며 파업 중단을 촉구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