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혁신은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부임 후 교육부의 중점 추진 정책이 됐다. 유 부총리는 사석에서 ‘교육부 장관 재임 시절 꼭 하고 싶은 한 가지를 꼽는다면?’이란 질문에 주저 없이 공간혁신이라고 답했을 정도로 남다른 애착을 갖고 있다. 그는 교육부에 입성하자마자 교육안전정보국 아래 교육시설과에 공간혁신팀이란 전담 조직을 꾸리고 정책을 추진했을 정도다.
국회 교육위원회 시절 공간혁신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한다. 동료 정치인의 소개로 광주 선운중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 학교 김태은 교사가 주도하던 공간혁신 활동에 매료됐다고 전해진다. 유 부총리는 김 교사를 부총리 정책보좌관으로 불러 공간혁신을 담당하도록 했다. 부총리 정책보좌관은 통상 두 명인데 공간혁신 전담 보좌관이 들어가면서 3인 체제가 됐다. 유 부총리가 직접 챙기는 정책이란 뜻이다.
유 부총리가 교육부를 떠나면 유야무야될 정책이란 전망도 있었다. 그러나 문재인정부가 ‘한국판 뉴딜’을 발표하며 상황이 달라졌다. 한국판 뉴딜의 교육 부문이 앞으로 5년간 18조5000억원이 투입될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다. 공간혁신은 그린학교, 스마트교실, 학교복합화와 더불어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의 4가지 핵심 키워드로 제시됐다. 현 정부가 구상하는 미래학교 개념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 탄력을 받게 된 것이다.
공간혁신의 핵심은 사용자 중심 설계다. 단순히 사용자가 요구하는 설계안을 건축가가 만드는 차원이 아니다. 공간혁신은 학생 스스로 자신이 쓰는 공간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공유해 해법을 찾아가는 과정을 거치도록 한다. 공유하는 공간이므로 해법이 다양하게 제시되며 최적의 방안을 도출하려면 소통 능력, 협동심, 민주시민의식 등을 발휘해야 한다. 또 자신들이 만든 공간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규칙을 만들고 이를 준수하도록 한다. 즉 공간혁신은 미래형 시설을 만드는 작업이라기보다 그 자체로 하나의 교육 콘텐츠이면서 미래학교가 운영되는 방식이나 태도를 혁신하는 것에 가깝다.
이도경 기자
[포스트 코로나 넘어 미래학교로]
▶①-1
▶①-2
▶②-2
▶③-1
▶③-2
▶④-1
▶④-2
▶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