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트렌드요? 끊임없이 바뀌죠. 끊임없이 공부하는 것이 어쩌면 숙명이랄까요.” 지난 20일 KT DS 사옥에서 만난 박용훈 마이스터(인프라개발팀 팀장)의 말이다. 20년간 IT산업에 몸담아온 박 팀장은 사내에서 부여하는 마이스터(명장)’ 칭호를 제도 도입 초기인 2015년부터 지금까지 유지하고 있다. KT DS에서 운영하는 마이스터 제도는 매년 내외부 평가위원의 까다로운 평가를 거쳐 선정된다.
처음 개발자로 입문했던 박 팀장은 10여년간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DBA)를 거쳐 최근에는 클라우드 플랫폼 솔루션 사업까지 종횡무진하며 보폭을 넓히고 있다. “작년 초부터 클라우드 컨테이너 부문을 사업화하거나 솔루션화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작년 6월부터 준비를 시작하고, 내부 투자심의를 받아서 지난해 10월 준비해 올해 4월말 정도에 클라우드 컨테이너 ‘플라잉큐브’를 공식 오픈하고 현재 KT에서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컨테이너 사업을 내부에서 시작하는 건 순탄한 길은 아니었다. KT그룹이나 DS 내부에서도 솔루션 사업 경험이 없어 처음 가는 길이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박 팀장이 클라우드 플랫폼 사업을 처음 주목했을 때는 비용적인 측면이나 투자에 대한 시장성이 불투명한 상황이었다.
그러다 클라우드 시장이 국내에서도 개화하면서 솔루션에 대한 요구(니즈)들이 생겼다. 결국 박 마이스터가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을 꿰뚫어 본 셈이다.
“저희 팀에서 제안해서 진행했던 건데, 내부를 설득하는 어려운 과정을 한 번 거쳤죠. 또 기술이 좋고 제품이 좋더라도 판매가 되지 않으면 안 되잖아요. 고객에게 맞는 서비스를 시기에 따라 맞추어 주는 것도 사업 진행에 중요한 포인트니까요. 다행히 클라우드에 대한 솔루션 니즈가 생기며 시기를 타서 KT에 판매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죠.”
클라우드는 크게 인프라(IaaS), 플랫폼(PaaS), 소프트웨어(SaaS)로 나뉜다. 플라잉큐브는 중간 단(미들웨어)인 플랫폼 사업에 해당한다. 아랫단인 인프라 사업은 비교적 초기부터 개발된 데 비해, 플랫폼 사업은 최근에 개발되기 시작한 사업이다. 박 마이스터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통신사들이 처음에는 클라우드 장비 사업과 서버환경 제공에 초점을 맞췄다면, 최근에는 플랫폼 서비스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는 자신이 이끌고 있는 시스템과 인프라를 전반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지난 20년 경력의 노장이 새로운 IT 트렌드에 끊임없이 적응해 나가고 또 새로운 것을 시도할 수 있는 원동력은 뭘까. 박 마이스터는 개발자로 IT에 입문해서 DB 관리자를 거치며 클라우드까지 종횡무진하며 영역을 확장해왔다. 그가 꼽은 비결은 ‘끊임없는 공부와 노력’이었다.
“처음에는 개발자로 시작을 했었습니다. 6~7년째 되다 보니 데이터베이스(DB)에 대한 개발 포인트가 생기다 보니 그때부터 DB에 관심을 많이 갖고 DBA로 일했죠. 그런데 IT쪽 트렌드 사이클이 점점 짧아지고 있다 보니 최근 주목받는 클라우드 쪽이라든지, 컨테이너 쪽에 대한 관심을 자연스럽게 갖게 됐죠.” 또 그는 계속 새로운 트렌드를 쫓는 변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박 마이스터는 “요즘은 다양한 오픈소스 툴과 언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듯하다. 요즘에는 하나의 오픈소스나 특정 기술 베이스를 가지고서 계속해서 접합해 새로운 기술을 만들어 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경쟁자라면 AWS(아마존 웹 서비스)·구글·MS(마이크로소프트)와 국내에서는 아코디언, 칵테일, 레드햇의 오픈쉬프트 등이 있습니다.” 그는 경쟁 기업을 꼽아달라는 질문에 쟁쟁한 회사들을 언급하면서도 자신에 찬 목소리로 설명했다. 꾸준히 새로운 영역을 개척해온 명장이 가질 수 있는 자신감이 느껴졌다. 박 마이스터의 새로운 도전 혹은 다음 발걸음이 기대된다.
구현화 쿠키뉴스 기자 ku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