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데이터 사업, 앞으로는 급여 자동이체 서비스와 직원 금융·복지 서비스까지 확대합니다.”
땀이 비오듯 흐르는 더운 8월의 어느 날 김진용(사진) 뉴플로이 대표를 만났다. 김 대표는 비콘(beacon)을 이용한 출퇴근 관리 서비스 ‘알밤’을 운영하며 최근 창사 5년을 맞아 최근 사명을 푸른밤에서 뉴플로이로 바꿨다. 김 대표는 “앞으로 ‘근로데이터를 이용한 서비스를 만드는 IT회사’라는 정체성을 확실히 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알밤은 현재 13만명의 사업자가 이용 중이다. 이용자 수는 40만명. 다달이 일정 금액을 받고 법인사업자들에게 직원 출퇴근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만 알밤은 소상공인들에게 문을 활짝 열었다. 실제 삼성전자 연구원에서 자영업자로 변신하며 스스로 필요성을 느껴 알밤을 론칭했던 김 대표는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에 공감하고 함께하기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소상공인 서비스 무료화하는 결단을 내리기도 했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뉴플로이로 회사 이름을 바꾼 이후 사업주는 물론, 직원을 위한 혜택도 점차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원 유저가 늘어나면서부터 다양한 금융 서비스나 복지 혜택에 대한 고객 요구가 커졌기 때문이다. “비상금대출 형태의 금융상품도 그렇고, 사원을 위한 ‘복지몰’ 형태도 저희가 은행과 함께 개발한 게 있습니다. 저희가 가진 근로데이터로 신용을 보장하는 거죠. 1금융권 두 곳과 일을 해 왔고, 하반기에 먼저 서비스가 출시될 것 같아요.”
사업주 쪽을 위한 서비스도 키운다. 올 8월 초 고정 지출비 분석 서비스 '알밤 페이데이'를 선보였다. 계좌를 연동해 두면 고정적으로 지출되는 비용을 분석해 매월 급여일에 돈이 부족할지 아닐지를 예측해 알려준다. 향후에는 알밤 페이데이를 통해 급여이체도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김 대표는 “9월 초에는 급여이체에 이어 급여이체 명세서까지 제공하는 인사담당자용 원스톱 급여 아웃소싱 서비스를 새로 내놓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서비스는 회사마다 다른 인사제도나 비용처리까지 반영 가능하고, 세금 신고납부를 도와주는 파트너사들을 통해 원천세 신고납부까지 관리할 수 있다.
숨 가쁘게 보폭을 넓혀가는 뉴플로이다. 김 대표는 “근로데이터 중 정말 로우데이터(raw data)까지 갖고 있는 거의 유일한 회사로, 국내서 퍼스트 무버”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의 말대로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근로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를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형태로 제공하는 기업은 뉴플로이가 유일하다.
앞으로 목표와 꿈은 무엇일까. 김 대표는 미국의 HR 급여자동화 소프트웨어 기업 구스토(Gusto)를 언급했다. 김 대표는 “한국의 구스토 같은 회사가 되는 게 꿈”이라며 “급여계산 누적액이 올 한해에만 4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금액이 전체 국내 회사 급여이체의 절반 정도까지 늘어났으면 한다”고 환하게 웃었다.
구현화 쿠키뉴스 기자 ku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