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모든 유치원과 초·중·고교의 등교수업이 26일 전면 중단되고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됐다. 코로나 신규 확진자 수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데다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당초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격상되면 실시하려던 전면 원격수업 전환 카드를 수도권에 먼저 꺼내들었다. 최근 2주 동안 수도권에서만 학생 150명, 교직원 43명이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만큼 상황이 심각하다고 인식한 것이다. 교육 부문은 이미 3단계로 격상된 셈이다. 다만 12월 3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앞둔 고교 3학년생은 예외로 했다.
원격수업 전환은 방역을 고려하면 불가피한 일이지만, 갑작스러운 등교 중단으로 문제점이 속출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선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인한 학습 공백이 우려스럽다. 지역·계층 간 디지털 격차는 이미 드러났다. 수업의 질이 떨어지지 않도록 온라인 콘텐츠 지원을 강화하고, 인터넷 인프라를 확충해야 한다. 특히 장애인 등 특수학교 학생이 지원 대상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더욱 세심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돌봄 공백도 문제다. 미처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가정이 많다. 이미 상반기에 가족돌봄휴가 등을 소진해 휴직이나 퇴사 이외 대책이 없는 경우도 있다. 교육부는 전면 원격수업이 진행되는 9월 11일까지 긴급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으나 현장에서 차질 없이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원격수업 실시 기한이 예정보다 더 늦춰질 경우도 대비해야 할 것이다.
가장 큰 걱정은 수능이 100일도 남지 않은 고3 수험생이다. 교육부는 그동안 수차례 수능을 예정대로 치르겠다고 강조해 왔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다. 코로나 확산세가 단기간에 잡히지 않고 가을과 겨울에 더 확산한다면 수능을 제대로 치를 수 있을지 불안감은 커질 수밖에 없다. 당장 9월부터 대학입시 정원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수시 선발 모집이 시작된다. 대면으로 이뤄져야 하는 실기시험이 제대로 치러질지도 미지수다. 정부가 언급한 코로나 대유행 시 비상 입시 대책인 ‘플랜 B’가 궁금하다. 플랜 B가 있다면 너무 늦기 전에 이를 국민에게 공개하길 바란다. 특히 수시 대신 정시를 준비하고 있는 수험생 입장에선 수능 일정이 매우 중요하다. 수능 재연기를 포함한 플랜 B를 선제적으로 내놓고 교육 당국과 학생, 학부모가 함께 대비하는 게 낫다. 자칫 현실과 동떨어진 대책을 뒤늦게 발표해 입시 현장에 대혼란을 일으키지나 않을지 우려스럽다.
[사설] 원격수업 전환, 학습·돌봄 공백 최소화해야
입력 2020-08-26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