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재유행과 장기화 대비 방안으로 감염병 상시 대응 진료 체제 전환과 함께 중환자 진료 대응책 마련이 우선 필요하다는 전문가 제안이 나왔다. 전병율 차의과학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25일 열린 2020미래의학포럼의 1주제 발표에서 “코로나19가 단기간에 종식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고 치료제와 백신 개발도 어려운 상황에서 무증상 환자의 감염 전파까지 가능한 코로나19에 대응하려면 상시 가동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앙에서는 정부와 전문가단체(의사협회 등), 지방에서는 지방자치단체(보건소)와 지역의료인단체(지역의사회)가 유기적으로 협력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2차 유행이 가시화하는 데 대한 대비책도 당부했다. 전 교수는 에크모(인공심폐장치)와 같은 중환자 치료에 필요한 의료장비뿐 아니라 의료기관 및 종사자 수에 비례하는 정도의 필수 방역물품(전신보호복, N95마스크, 고글 등)의 비축을 주문했다. 병원 내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한 선제적 진단검사와 비용 지원의 필요성도 덧붙였다. 그는 또 중환자 현황을 반영해 실시간으로 전국 가용 병상 정보를 수집하는 ‘중환자 중앙통제센터’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권역별로 중환자 치료를 담당할 거점병원을 선정하고 중앙통제센터에서 이를 지원·감독한다. 중환자 전담의와 처치팀(간호사), 이송팀(응급구조사) 등의 상시 가동 체계도 구축돼야 한다.
중환자 병상을 관리할 의료인력 확보도 필요하다. 전 교수는 “중환자 병상은 대학병원급에서 중환자를 직접 관리했던 전문의사들이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지방의료원에 종사하는 의사들은 전문성이 취약해 결국 대학병원에서 파견해줘야 하는 현실”이라며 “이런 측면에서 대학병원 의료인력과의 협조가 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코로나19 2차 유행이 독감 등 다른 감염병과 함께 진행될 경우를 대비한 발열·호흡기 전담 진료소의 지정과 활성화가 필요하다. 전 교수는 “호흡기 환자가 의료기관에 오면 우선 인플루엔자 검사를 실시해 독감 환자를 걸러내고, 나머지 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통해 일반 감기 환자와 코로나19 환자를 구별해 내야 한다”고 조언했다.
▶
▶
▶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