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감염경로를 알 수 없는 ‘깜깜이 환자’가 서울 확진자 4명 가운데 1명꼴인 것으로 파악됐다. 서울시는 정확한 감염경로 추적을 위해 역학조사 인원을 늘리기로 했다.
서울시는 23일 0시 기준 깜깜이 환자가 전체 확진자의 22.3%에 이른다고 24일 밝혔다. 23일 신규 확진자 97명 중 36명(37.1%)이 깜깜이 환자였다.
시는 질병관리본부·시·자치구 연합 역학조사반에 파견하는 ‘역학조사지원반’에 82명을 신규 배치했다. 기존 역학조사 인원은 49명에 불과했다.
역학조사지원반은 일반 역학조사요원 75명과 통제관급 7명으로 구성된다. 역학조사요원은 3명씩 25개 자치구에, 통제관급은 집중관리 자치구 7곳에 배치됐다. 이들은 깜깜이 환자에 대한 신속한 역학조사를 시행한다.
또 이번 주 안에 예비 역학조사요원 약 125명을 추가 확보할 예정이다. 자치구별 상황에 따라 현장에 즉시 투입할 방침이다.
서울시는 마스크 착용 의무화 조치 세부지침도 공개했다. 집 같은 개인 공간, 식사 등 불가피한 경우가 아니면 실내에선 항상 마스크를 착용해야 한다. 실외에서도 주변에 사람이 아예 없거나 음식을 섭취할 때가 아니면 마스크를 쓰고 있어야 한다.
서울을 방문한 다른 지자체 거주자도 반드시 마스크를 써야 한다. 지난 4일 국회를 통과한 감염병예방법 개정안의 효력이 발생하는 오는 10월 13일부터는 마스크 미착용자에게 과태료 10만원을 부과할 수 있다. 착용 마스크 종류는 규제하지 않는다.
한편 서울시는 관악구 무한그룹, 지난 15일 민주노총 집회 방문자들에게 코로나 검사를 받으라고 촉구했다.
▶
▶
▶
▶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