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장이 코로나19 재확산 국면에서 선제적 대응 전략을 잇달아 구사하고 있다. 여당보다 발 빠르게 2차 긴급재난지원금 지급을 언급한 데 이어 사회적 약자를 우선으로 백신을 지급해야 한다며 정부에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할 것을 당부했다. 정부·여당의 늑장 대응을 부각하는 한편 코로나19 관련 의제를 선점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은 24일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정부가 온 국민에게 백신을 접종할 수 있는 노력을 어느 정도 하고 있고, 어느 정도 백신 확보의 능력을 갖추고 있는지 국민에게 말씀하라”며 “백신은 정부 재정으로 모든 국민에게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준비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에 백신이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하면 엄청난 갈등과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사전에 인식해야 한다”며 “1차 방역에 종사하는 사람, 건강이 연약한 사람, 사회적 약자 순으로 접종할 수 있도록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간 정부의 확장적 재정 정책에 부정적이었던 통합당은 재난지원금 지급을 위한 4차 추경 필요성도 먼저 들고나왔다. 코로나19 이후 심화할 양극화 현상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차원이다. 김 위원장은 “코로나로 인해 양극화 사태가 엄청나게 벌어지고 있다. 정부는 4차 추경을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4차 추경으로 재난지원금을 나눠주는 데 있어서도 양극화 문제를 염두에 두고 어디에 가장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할지 예의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감염병 대응을 상시로 하기 위한 국가보건안전처 또는 안전부 설치도 거듭 제안했다. 보건복지부를 국가보건안전부와 복지부로 나눠 보건의료 정책을 전문성 있는 정부 부처가 책임지도록 하자는 것이다.
‘약자와의 동행’을 내건 통합당은 김미애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약자와의 동행위원회’도 출범했다. 소외된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현안이 발생하면 당 차원에서 즉각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것이다. 기득권 대변 정당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 김 의원은 비대위 회의에서 청각장애인을 위한 투명 마스크 공급을 요구하며 “방역인증 마스크를 오려 투명판을 댄 제품이 한 장에 5000원에 판매되고 있다. 이마저 턱없이 부족해 장애아동 부모님들이 직접 제작법을 공유해 만들어 쓰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라며 “국가적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도 소홀함이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