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일각에서 코로나19의 전국적 재확산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 달 30일 시작되는 추석 연휴 기간에 이동 제한 방안을 검토할 가능성이 거론됐다. 하지만 논란이 커지자 민주당은 “검토하지 않았다”면서 진화에 나섰다. 다만 일각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을 막기 위해선 이동 제한을 비롯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민주당 허윤정(사진) 대변인은 23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추석 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가능성에 대한 기자들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추석에 전면적 이동을 허용할 것이냐의 문제까지 지금은 더 고민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중국은 여러 논란에도 확진자 수가 현저히 줄었는데 아예 (이동을) 금지시켰다”며 “민주국가에서 그럴 순 없지만 감염병이란 것이 생명을 위협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긴급 행정명령을 발동해야 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그 상황까지 안 가도록 하는 게 최선”이라고 답변했다.
허 대변인 발언이 이슈가 되자 민주당은 ‘추석 연휴 이동제한’ 자체를 검토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민주당은 문자메시지를 보내 “코로나19 확산이 통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고민해봐야 할 지점이라는 의미였다”며 “민주당은 이와 같은 사안을 논의한 바도 없고 검토하지도 않았다”고 밝혔다. 이후 허 대변인은 “재난지원금 관련 답변을 하는 과정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했던 발언”이라고 해명했다.
여권에서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이동제한 조치가 거론된 것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2월 당시 홍익표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당정청 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대구·경북 지역에 최대한의 봉쇄정책을 시행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후 파장이 커지자 당직에서 물러났다.
다만 코로나19의 전국적 재확산을 막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끊이지 않고 있다.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는 최근 추석 연휴 이동 제한 조치를 취해 달라는 요청이 최근 올라와 1만7000건 넘는 동의를 받기도 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