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통합신공항과 연계한 경북 동해안권 5개 시·군 발전전략을 구체화했다고 23일 밝혔다. 인적 교류와 물류 흐름이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영일만항의 기능을 강화하고 동해안 해양관광 세계화에 주력한다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영일만항을 동북아시아 물류의 중심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만과 주변 인프라를 강화하고 있다. 올 10월 국제여객부두가 준공되면 7만t급 이상의 대형 여객선의 접안이 가능해진다. 항만 배후단지 적기 준공과 함께 물류기업 유치에도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물동량 확대를 위해 카페리 정기항로 개설을 추진 중이다. 올해부터 운영 중인 인입철도를 활용해 내륙 물류 연계를 통한 수출입 물동량 확보에도 주력하기로 했다. 도는 대구·경북 기업체를 대상으로 수출입 물동량 확보를 위한 세일즈에 나서고 북극항로 개척과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계를 위한 연구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통합신공항과 영일만항은 환동해 신북방 시대의 물류 거점으로 거듭날 것으로 기대된다.
동해안 해양관광 세계화를 위해 통합신공항을 기점으로 대구·경북 17개 시·군(대구 달성군 포함)을 잇는 국내 최장 경북 ‘내셔널 트레일(National Trail)’도 조성한다.
동해안권 5개 시·군에는 특성에 맞는 해양·에너지 분야 국립기관, 국립시설도 유치할 계획이다. 포항은 ‘호미반도 국가해양정원’과 ‘국립 지질·지구과학 교육관’, 경주는 ‘국립 원자력·에너지 미래관’, 울진은 ‘해양치유센터’, 영덕은 ‘국립 해양생물 종복원센터’ ‘수산식품 수출가공 클러스터’, 울릉은 ‘국립 독도아카이브센터’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등을 추진한다.
안동=김재산 기자 jskimkb@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