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호남지역 인사 비례대표 우선추천제’를 추진한다. 통합당은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9일 광주 국립5·18민주묘지를 찾아 ‘무릎 사과’를 하는 등 연일 호남 민심을 잡기 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정운천 통합당 국민통합특별위원장은 20일 기자회견에서 “국회의원 비례대표 당선권 20위 이내에 25%를 호남지역 인사로 추천토록 하는 내용을 당헌·당규에 명문화해 지역주의 극복의 근본적인 해결 방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호남지역 인사들을 비례대표 의원으로 국회에 입성시켜 호남 지지 기반을 확대하고, 영남 중심인 통합당 인적 구성에 변화를 주겠다는 취지다.
정 위원장은 “호남지역 인사 비례대표 우선추천제에 많은 의원이 공감하고 있다”며 “호남에 희망을 만들기 위한 씨앗을 뿌리는 제도”라고 말했다. 통합당의 한 관계자도 “호남지역 당협위원장들을 키워 비례대표 의원으로 국회에 입성시킨 뒤 자신의 지역구를 다지게 해 통합당의 불모지인 호남에서도 지역구 의원을 만들겠다는 구상”이라고 설명했다.
통합당 전신인 새누리당은 20대 국회 때 전남에서 이정현 의원, 전북에서 정 위원장 등 호남 지역구 의원을 배출했다. 하지만 이후 5·18민주화운동 폄훼 망언 등으로 호남 민심이 완전히 등을 돌렸다. 통합당은 지난 4·15 총선 때 호남 지역구의 경우에는 공천부터 애를 먹어 후보도 내지 못한 곳이 많았다. 결국 지역구에선 전멸했다. 21대 국회에 입성한 통합당 비례대표 의원 19명 중 5명(정운천 이용 이종성 전주혜 조수진)이 호남 출신일 뿐이다.
통합당은 ‘호남에 제2지역구 갖기운동’도 추진키로 했다. 전체 의원 103명을 호남지역 41개 지방자치단체의 명예의원으로 위촉하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각 의원이 해당 지자체와 자매결연을 맺고 중점 추진 예산과 법안, 지역 현안 사업 해결을 위한 소통 창구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통합당은 또 5·18 유공자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는 법안도 추진한다. 김 위원장이 전날 광주에서 5·18 관련 단체들과의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직접 들은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할 방침이다.
그러나 당 일각에선 비례대표 당선권의 25%를 호남지역 인사로 채운다는 공언이 ‘보여주기식’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4·15 총선 때 비례대표 순번을 놓고 잡음이 컸던 것을 감안하면 이 같은 공천 룰을 정해놓는 것에 대한 당내 반발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