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산업 활성화를 통해 기업에서 다양한 서비스가 탄생하고, 국민들은 이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고 안전한 일상생활과 업무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디지털 뉴딜 사업을 통해 비대면 활성화의 혜택이 전 분야에 고루 퍼지게 하는 동시에 법·제도를 마련해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박윤규(사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통신정책관은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신성장동력 포럼에서 디지털 뉴딜 사업의 핵심 축인 비대면 산업 육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가 집중 추진하는 디지털 뉴딜은 비대면 사업 기반을 구축해나가는 단계적 과제인 동시에 안전하고 편리한 디지털 사회로의 전환에 중점을 뒀다.
박 정책관은 비대면에 대해 “디지털 기술과 온라인을 통해 일상생활이 가능케 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서 “대면의 반댓말이 아니라 대면을 확장시켜주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생활 속에서 비대면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생긴 사회·제도적 변화도 제시됐다. 박 정책관은 “상당한 기간 진통을 겪고 진행하지 못했던 원격의료가 한시적으로나마 비대면 의료 분야로 진행되고 있다”며 “국민 편의성 제고와 의료진 업무 부담 경감에 대한 공감대도 어느 정도 형성됐다고 본다”고 말했다.
교육현장을 지탱하고 있는 온라인 학습의 성과도 유의미하다고 봤다. 박 정책관은 “학교에서는 온라인 교육이 평범한 일상이 됐다”며 “향후 저학년, 장애학생의 경우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등 실감 콘텐츠를 활용할 여지가 많다”고 전망했다. 과기정통부는 학생들이 한 공간에 모여 집단적으로 치르는 시험을 대체하기 위한 인공지능(AI) 평가시스템 구축에도 관계기관과 힘을 모을 예정이다.
공공·민간의 협업도 필수적이다. 박 정책관은 “정부가 구축한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고 민간의 플랫폼 서비스 등과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모바일 신분증과 신원인증 서비스를 활용해 각종 문서를 전자화하고 영수증, 처방전도 모바일로 확인한다면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면 일상의 정착을 위해 디지털 인프라 구축이 선행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회간접자본(SOC) 디지털화 등 관리체계의 변화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 정책관은 “일상에서의 대면 환경을 어떻게 비대면으로 안전하게 전환할 수 있는지가 정책의 포인트”라고 말했다.
▶
▶
▶
▶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