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아스트라제네카와 손잡고 전 국민에 무료 백신

입력 2020-08-20 00:04 수정 2020-08-20 00:04
사진=뉴시스

호주가 영국 옥스퍼드대와 함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인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와 백신 공급 계약을 맺었다. 호주 정부는 전 국민에게 무료로 백신을 접종한다는 방침이다.

영국 BBC방송 등에 따르면 스콧 모리슨(사진) 호주 총리는 18일(현지시간) “임상시험에서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한 백신의 효능이 검증되면 즉시 자체 설비로 생산해 2500만 국민에게 무료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백신은 임상시험 최종단계인 3상에 들어간 상태로 현재 전 세계에서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 중 유력한 성공 후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과 3억회 분량, 유럽연합(EU)과 4억회 분량의 백신 공급 계약을 이미 체결했다. 호주가 제약사와 백신 공급 협약을 맺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양측은 의향서(letter of intent)에 서명했으나 공급 가격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아직 협의하지 않은 상태다. 백신 공급 시점은 이르면 내년 초로 전망된다.

다만 호주 보건부 대변인은 “호주가 자체적으로 그 정도 물량의 백신을 생산할 여력이 있을지 의문”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호주 정부는 앞서 백신 확보를 위해 수십억 달러의 비용을 지출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레그 헌트 보건장관은 “호주 정부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백신을 조속히 확보하기 위해 최근 몇 달간 국내외 유망 백신 개발자들과 접촉해 왔다”고 전했다. 호주는 이날 미국 제약사 벡턴 디킨슨에서 주사기와 주삿바늘 1억개를 구매하는 2500만 호주달러(약 214억원) 규모의 계약도 체결했다.

모리슨 총리는 19일 멜버른의 한 라디오 방송과 가진 인터뷰에서 “백신이 나오면 95% 수준의 접종률을 목표로 하겠다”며 코로나19 백신 접종 의무화를 주장했다가 전문가들의 지적이 잇따르자 이를 철회했다.

BBC방송은 “일각에서 백신의 안정성이 입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그런 발언은 역효과를 낳을 수 있으며, 심지어 위험할 수도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면서 “모리슨 총리는 이후 ‘호주에서 백신의 의무접종은 없다’며 입장을 번복했다”고 전했다. 호주는 지난달 동남부 빅토리아주에서 바이러스 ‘2차 파도’가 시작되면서 19일 오전까지 누적 확진자 2만3993명, 누적 사망자 450명(월드오미터 기준)을 기록하고 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