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지(사진) 국세청장 후보자가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 딸의 학교 적응을 위해서였다며 인정하고 사과했다. 다만 본인을 둘러싼 부동산 문제에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자는 19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 의혹이 제기되자 “캐나다에 파견갔다 와서 딸의 학교 적응이 우려돼 엄마와 딸이 주소를 늦게 옮기는 방법으로 (기존 학교를) 계속 다녔다”면서 “결론적으로 정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2009년 캐나다 연수를 마치고 귀국하면서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로 전입신고를 했지만 배우자와 딸의 주소는 출국 전 주소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에 그대로 뒀다. 이를 두고 미래통합당 의원들은 자녀를 강남 8학군에서 교육하기 위한 위장전입으로, 공직자 윤리에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다만 김 후보자는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박했다. 김 후보자의 가족과 모친, 처제는 2011년 1월부터 11월까지 강남구 역삼동의 한 아파트에 함께 거주했다. 유경준 통합당 의원은 이를 두고 “방 3개 아파트에 5명이 함께 살았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주택청약 가점을 위한 위장전입이 아니냐고 따져 물었다.
김 후보자는 “중산층 이하 서민 계층은 그렇게 많이 산다”면서 “당시 딸이 초등학교 6학년이라 이모와 자고 할머니와 잤다”고 설명했다. 강남구 자곡동 분납임대주택을 실거주 목적이 아니라 투자 목적으로 분양받으려 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실제로 다 거주했다”고 강조했다.
청문회에서는 전광훈 사랑제일교회 목사에 대한 세무조사를 둘러싸고 여야 간 설전도 벌어졌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천지의 이만희 총회장처럼 전 목사에 대해서도 세무조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자 김 후보자는 “탈루 혐의가 있는지 없는지 체크해보겠다”고 답했다.
이에 윤희숙 통합당 의원은 “사회적 지탄을 받은 인사나 여당 인사가 찍은 인사를 세무조사하겠다는 원칙이 있느냐”며 “공직 후보자께서 불법을 약속하신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는 “오해다. 원론적인 얘기였다”고 해명했다.
김이현 기자 2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