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중심 재유행, 의사 파업도 멈춰 세우나

입력 2020-08-19 04:06 수정 2020-08-19 11:22
연합뉴스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코로나19 재유행이 의사 파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해 장기 집단휴진을 예고했던 의사단체가 태도를 바꿔 정부에 대화를 요청한 것이다. 정부와 대한의사협회(의협)는 19일 만나기로 했다.

의협은 18일 “오늘 오전 의협 회장과 보건복지부 장관이 참여하는 긴급 간담회를 복지부에 제안했다”고 밝혔다. 복지부의 협의체 구성 제안을 거부하고 지난 14일 한 차례 총파업을 진행한 의협은 오는 26~28일 2차 파업을 계획하고 있었는데 한발 물러선 모양새다.

복지부도 곧바로 화답했다. 복지부는 19일 오후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박능후 복지부 장관과 최대집 의협 회장 간 의·정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전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오는 21일 3차 파업을 강행한다는 방침이지만 이미 복지부와 소통협의체를 구성해 회의를 했다.

코로나19 재유행의 중심에 서 있는 서울 성북구 사랑제일교회 집담감염과 의협 총파업의 연관성이 확인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등에 따르면 지난 13일 사랑제일교회를 방문한 A씨는 다음 날인 14일 여의도에서 열린 의협 주최 ‘전국의사총파업 궐기대회’에서 무대 음향장치를 설치, 관리했다. 13일부터 두통 증상이 있었고 15일 양성 판정을 받았다.

확진자 급증으로 의료계 협조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진 상황에서 집단휴진이 길어지면 자칫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위기감도 깔려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의협은 앞서 1차 파업 때도 이런 점을 고려해 분만, 응급, 투석, 입원환자 및 중환자 담당 등 필수인력은 제외했다.

의협의 대화 참여로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정책 추진에는 동력이 붙을 전망이다. 정부는 2022학년도부터 매년 최대 400명씩 향후 10년간 4000명의 의사를 충원해 이 중 3000명을 지역에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김강립 복지부 차관은 “코로나19 재확산의 고비에서 의료계와 정부가 함께 대응하면 위기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선 기자 ys85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