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초기 강력한 방역 시스템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입력 2020-08-19 04:01
정부가 18일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수도권 지역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더 강화하는 조치를 꺼내들었다. 지난 16일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시행한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를 인천 지역으로 확대했다. 19일부터 수도권에서는 실내 50인 이상, 실외 100인 이상이 모이는 대면 모임과 행사가 원칙적으로 금지됐고 클럽, 노래연습장, 뷔페, PC방 등 12종의 고위험시설과 국공립시설의 운영이 중단됐다. 교회의 모임과 활동도 비대면(온라인) 예배를 제외하고는 허용되지 않는다. 일상 생활에 큰 제약이 따르겠지만 코로나19가 무서운 기세로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라 불가피한 조치로 보인다.

최근 코로나19 확산세는 심각하다. 지난 13일 103명을 시작으로 연일 세 자릿수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최근 닷새간 발생한 확진자는 991명이나 된다. 대구 신천지발 확진자가 쏟아졌던 지난 2~3월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수도권은 집단감염이 현실화됐고 9개 시·도에서도 환자가 발생해 전국 확산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방역 당국은 “대규모 유행으로 번질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이번 주가 수도권에서의 집단감염이 전국적인 대유행으로 진행되느냐를 결정짓는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유행이 현실화되면 사회적 혼란은 물론 경제적 손실이 걷잡을 수 없이 확대될 것이다. 정부와 시민들이 심기일전해 총력전을 펴야 한다. 상대적으로 선방했던 과거의 성취에 안주하지 말고 초기 유행 때 가졌던 긴장감과 경계심, 강력한 방역 시스템으로 되돌아가야 한다. 당분간은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방역에 두고 신속하고 과감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실효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상황이 더 악화되면 3단계 조치 격상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 확진자 급증에 대비해 병상, 생활치료센터, 의료 인력 등 의료 시스템과 자원도 꼼꼼히 점검해야 한다.

시민들도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 모임과 외출을 자제하고 마스크 착용, 자주 손씻기, 거리두기, 사람이 많고 밀폐된 공간 가지 않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한다. 기업이나 사업장들도 유연·재택근무를 확대하거나 대면접촉을 줄이는 등 자구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방역 조치와 수칙을 준수하는 게 당장은 불편하고 경제적 손실을 입는 경우도 있겠지만 감수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더 큰 불편, 더 큰 손실을 피하는 길이기 때문이다. 방역에 실패하면 경제도, 일상 생활도 엉망이 된다는 걸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