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신규 확진 세자릿수, 방역 강화 실기 말라

입력 2020-08-15 04:01 수정 2020-08-15 04:01
코로나19 감염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 14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가 103명으로 집계됐다. 20~40명대에서 오르내리던 신규 확진자는 지난 11일 54명, 12일 56명으로 늘었고 13일엔 2배 수준으로 급증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신규 확진자가 100명을 넘은 것은 지난 7월 25일(113명) 이후 20일 만이다. 당시는 이라크에서 귀국한 건설 노동자와 부산항 입항 러시아 선박 승선자 집단감염 등 해외발(36명) 요인으로 인한 일시적 급증이었지만 이번에는 지역 발생이 85명으로 대부분이다. 최근 감염은 서울 남대문·동대문 시장 등 대형 상가, 일부 교회, 학교, 롯데리아 등 사람들이 모이는 다양한 장소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특히 위험하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서울·경기에서 하루 만에 확진자 수가 배로 증가할 정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고 연결고리가 밝혀지지 않은 비율도 13%가 넘는다”며 “수도권은 대규모 집단유행이 이어질 수 있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진정되는 듯하다가도 잊을만하면 확산의 발톱을 드러내는 코로나19의 위세가 질기고 두려울 정도다.

방역 당국은 잦은 비로 실내 모임이 많아졌고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마스크 착용이나 거리두기에 대한 경각심이 느슨해진 것이 최근 확산세의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신규 확진자가 급증하면 역학조사가 제대로 이뤄지기 어려워 방역 사각지대에 놓이는 환자들이 늘어날 수 있고, 이는 다시 신규 확진자 급증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발생하게 된다. 신규 확진자 수를 방역 당국과 의료 시스템이 관리할 수 있는 범위 내로 묶어두려면 지금 당장 필요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신규 확진자의 80%이상을 차지하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방역의 고삐를 다시 바짝 좨야 한다. 일상 생활에서 시민 개개인이 방역수칙을 실천하고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게 가장 효과적이라는 건 두말할 필요가 없다. 광복절인 15일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겠다고 신고한 주최 측은 서울시의 집회금지 행정명령을 수용해 집회를 취소하거나 연기해야 할 것이다. 서울시와 경기도가 모든 종교시설에 대해 15일부터 집합제한 행정명령을 내린 것도 불가피한 조치인 만큼 종교계는 적극 협조하길 바란다. 방역 당국은 상황이 좀 더 악화되면 수도권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2단계로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했다. 이것저것 재느라 적절한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