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사의를 표명했던 노영민 비서실장에 대해 유임을 결정했다. 청와대발 다주택자 논란의 책임이 있는 노 실장이 사실상 문 대통령의 재신임을 받았다. 문 대통령은 업무 공백과 정치적 책임의 경중 등을 고려해 노 실장을 유임시킨 것으로 보이지만, 여전히 부동산 민심이 최악인 상황에서 이뤄진 노 실장의 유임을 둘러싸고 논란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7일 노 실장과 수석비서관급 참모들이 일괄 사의를 밝힌 뒤 수석 대부분이 교체됐지만 최고 책임자인 노 실장은 청와대에 남게 됐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3일 노 실장 교체 등 후속 인사와 관련해 “청와대 수석급 이상 인사는 일단락됐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단락은 문 대통령이 반려 결정을 했다는 건가”라는 질의에 “사의 표명을 했고 (수석급) 인사 발표로 이제 일단락이 됐으니 그렇게 봐도 된다”고 했다. 노 실장과 함께 김외숙 인사수석도 잔류하게 됐다.
노 실장은 지난 7일 비서실 소속 5명의 수석과 함께 일괄 사표를 제출했고, 문 대통령은 이후 순차적으로 신임 수석들을 발표했다. 하지만 노 실장 사표는 반려하면서 재신임 뜻을 밝힌 것이다.
여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애초부터 노 실장 교체를 검토하지 않은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노 실장이 이미 부동산을 다 매각했고, 수석이 5명이나 바뀐 상황에서 업무 공백 등을 고려한 것이라는 해석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미 2~3주 전부터 노 실장과 김상조 정책실장은 바뀌지 않는다는 말이 돌았다”면서 “문 대통령은 아직 노 실장을 바꿀 때가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노 실장은 부동산 매각 과정에서 논란을 일으켰지만, 결국 서울 반포와 충북 청주의 부동산 2채를 모두 매각해 무주택자가 됐다. 또 노 실장의 다주택 매각 권고 이후 청와대 신임 수석들이 모두 1주택자 또는 무주택자가 임명되면서 결과적으로 공직사회에 새 기준을 만들었다는 평가도 있다. 또 문 대통령이 문책성 인사를 잘 하지 않는다는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노 실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공황 이후 최악이라는 세계 경제 충격에도 우리나라의 국가신용등급은 흔들림 없이 자리를 지키고 있다”고 썼다. 거취 논란을 마무리 짓고 대통령 보좌를 이어가겠다는 뜻을 드러낸 것으로 해석된다.
▶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