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산 이후 경제·사회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혁신·변화 요구가 분출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한 ‘디지털 전환’의 필요성은 높아졌고, 경기 위축에 따른 일자리 감소 우려도 현실이 됐다. 이에 정부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 해결하기 위한 ‘한국판 뉴딜’ 사업을 제시했다. 정보통신기술(ICT)·모빌리티·에너지 기업들도 거국적인 사업에 기술력과 투자로 힘을 보태고 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사업의 목표는 2025년까지 190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디지털 뉴딜과 그린 뉴딜이라는 2개 축을 중심으로 총 160조원에 달하는 재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투입 자금은 국비가 114조1000억원으로 가장 많지만 민간 조달 자금도 20조7000억원으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재정 투입에 이은 민간의 투자가 조화롭게 이뤄지는 것이 향후 한국판 뉴딜 사업 성공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수의 사업 중에서도 ‘경제 활력 제고에 파급력이 큰 사업’ ‘단기·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사업’ ‘디지털화·그린화 관련 국민 체감도가 높은 사업’ ‘지역균형발전 및 지역경제 활성화 기여 사업’ ‘민간투자 확산 및 파급력이 높은 사업’을 중심으로 10대 대표과제를 선정했다.
국내 최대 포털로 20여년간 각종 분야의 데이터를 쌓아온 네이버는 이 중에서도 첫 번째 과제인 ‘데이터 댐’ 사업에서 역량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은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강화 차원에서 공공데이터 14만개를 일종의 댐처럼 구축하는 사업이다. 민간 기업과 개발자들은 개방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사업을 시작하거나 발전시킬 수 있다.
국민 안전을 위한 사회간접자본(SOC)의 디지털화도 대표 과제다. ICT 기술을 보유한 이동통신사가 협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SK텔레콤은 사물인터넷(IoT)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한국수자원공사와 손을 잡았다. ‘스마트 상수도’ 운영관리 사업이 주 목표로 사업 진행 과정에서 관망시설 관리운영사 등의 새로운 직업도 생겨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T는 지난달 발 빠르게 한국판 뉴딜 협력 태스크포스(FT)를 신설했다. 통신시설을 다수 보유한 KT는 특히 사회간접자본(SOC)·인프라의 디지털화에 주목하고 있다. 관제 솔루션을 통해 노후 시설물의 붕괴 위험을 미리 파악하거나 누수·누출 탐지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린 뉴딜은 에너지 절약과 환경 개선, 신재생에너지 확산 등의 친환경에너지 인프라 구축이 골자다. 모빌리티·에너지 등 산업에서 친환경 경쟁력을 강화해 관련 분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지원하는 것도 주요 정책 목표다.
특히 정부는 수소전기차 부문에서 경쟁력을 가진 현대자동차그룹과 협력에 나서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현대, 기아, 제네시스 등 브랜드로 2025년까지 전기차를 23종 내놓을 계획이다.
LG화학과 GS칼텍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전기차 배터리 특화 서비스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전기차가 GS칼텍스 충전소에서 충전하는 동안 주행·충전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저장하면 LG화학의 빅데이터·배터리 서비스 알고리즘이 배터리 상태와 위험성을 분석하는 개념이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