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뉴딜은 전례가 드문 거대 사업인 만큼 낯선 용어들도 다수 등장한다. 용어를 이해하면 사업의 성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디지털 뉴딜의 핵심이 되는 키워드는 ‘데이터 댐’이다. 물을 가두는 댐처럼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고 필요한 곳에 공급해 준다는 의미다. 이를 위해 정부는 분야별로 빅데이터 플랫폼을 확대하고, 데이터 수집·가공·거래·활용 기반 강화에 나선다. 인공지능(AI) 학습·융합에 필요한 데이터를 개방하는 등 ‘데이터 경제’ 구축에도 힘을 쏟을 계획이다. 민관합동 컨트롤타워가 공공·민간 데이터의 통합관리와 연계를 전후방 지원할 방침이다.
‘D.N.A. 생태계’는 약자를 이해하면 쉽다. 데이터(Data) 네트워크(Network) 인공지능(AI)을 모든 산업 분야에 활용해 생산성을 높이는 데 활용하겠다는 구상이다.
‘지능형 정부’란 인공지능(AI)·5G·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활용, 국민에게 맞춤형 공공서비스를 미리 알려주고 신속 처리해주는 ‘똑똑한 정부’를 의미한다. 탄탄한 보안이 장점인 블록체인 기반의 모바일 신분증을 활용한 비대면 공공서비스도 이에 해당한다.
주로 인프라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은 가상공간에 실물과 같은 형태의 쌍둥이를 만들어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분석하는 기술이다. 육안 분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어 주로 도로, 지하공간, 항만, 댐 건설 등에 활용이 기대된다.
‘그린’이라는 단어를 포함한 사업은 ‘친환경’을 떠올리면 된다. ‘그린 스마트 스쿨’이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국 초·중·고에 에너지 절감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스마트 시티’는 첨단 정보기술(IT)을 활용해 도시의 교통·주거·환경 문제 등을 해결함으로써 시민들이 쾌적하고 편리하게 살 수 있는 도시를 말한다.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스마트하고 친환경적인 제조 공간으로 전환하는 사업은 ‘스마트 그린 산단’으로 명명했다.
김성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