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광주시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의 충격적인 비리가 드러났다. 나눔의 집 비리는 지난 5월 참다못한 내부 직원들의 고발로 알려졌다.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이와 관련된 조사를 진행해 충격적인 비리를 폭로했다. 반면 사회적으로 더 큰 파장을 불러온 정의기억연대의 비리 의혹에 대해선 정부가 조사를 해놓고도 아무런 발표가 없다. 처벌 의지가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운 지경이다.
정부는 더불어민주당 윤미향 의원이 이사장이었던 정의연에 대해 지난 6~7월 기부금 모집 위반 여부에 대해 점검했다. 그 결과 몇 건의 부적절한 사례를 확인하고 행정지도를 실시했으나 구체적인 사례와 조치에 대해선 수사 중이라는 이유로 밝히지 않고 있다. 일각에선 사실상 정의연 봐주기 수순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정의연은 12일 기자회견을 갖고 그간의 사태에 대해 사과했다. 조직을 개편하고 회계 투명성을 높이는 등 개혁 방안도 제시했다. 의혹이 불거진 지 3개월이 지나서야 개혁안을 내놓은 것이다. 개혁안은 개혁안대로 따르되, 과거의 잘못을 그냥 덮어서는 안 될 것이다. 정부는 조사 결과를 투명하게 밝히고, 정의연은 책임질 게 있다면 응당 책임져야 한다.
나눔의 집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 동안 88억원가량의 후원금을 모집했지만 피해자 할머니 돌봄에 쓴 건 약 2억원뿐이었다. 그것도 시설 운영을 위한 간접 경비가 대부분이고, 할머니들의 복지나 증언 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할머니들을 내세워 거액을 모금한 뒤 대부분 땅을 사거나 건물을 짓기 위해 쌓아두는 등 재산 조성 목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나눔의 집은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이 운영해온 시설이다. 승려인 이사들이 ‘할머니들 돌아가시기 전에 후원금을 더 많이 받고 모으자’는 발언을 한 것도 사실로 드러났다. 간병인이 할머니들에게 “갖다 버린다”는 등의 언어폭력도 자행했다니 참담한 노릇이다. 당국은 철저한 수사로 피해자를 두 번 울리는 이 같은 일이 다시는 일어나지 않도록 엄정하게 조치해야 할 것이다.
[사설] 나눔의 집 충격적 비리… 정의연은 어떤가
입력 2020-08-13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