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1일 문재인 대통령의 전날 “집값 상승세 진정” 발언에 대한 야권의 비난 공세에 대해 “최근 한 달 동안 집값 상승률이 둔화한 것은 사실”이라고 거듭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7월 6일 발표된 주택가격 상승률은 0.11%였다. 나흘 뒤 7·10 대책이 나왔고 7월 13일 발표된 상승률은 0.09%였다”며 “이후 7월 20일에는 0.06%, 7월 27일에는 0.04%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달 3일에도 상승률은 0.04%를 기록했다. 실제로 상승률이 둔화한 것”이라며 “한 달 동안 추세와 정책입법 패키지 완성 등 상황을 고려하면 상승률은 더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 발언은 집값 안정에 대한 정책 의지를 강조한 표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야권은 이날도 문 대통령의 발언을 비판했다. 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그건 대통령 혼자의 생각”이라며 “부동산 정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는지 없는지는 일반 국민이 판단할 문제이지, 대통령 혼자서 안정됐다고 이야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도 페이스북에서 “이미 오를 대로 올랐는데, 만약 여기서 집값이 더 올라간다면 그것은 국민 보고 죽으라는 이야기”라며 “상황 인식과 판단에 중대한 오류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청와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2020 한국경제보고서’가 현재 경제 상황을 상대적으로 호평하자 별도 브리핑을 통해 보고서 주요 내용을 요약 제공했다.
강민석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국이 OECD 국가 중 올해 경제성장률이 -0.8%로 세계 1위라는 점 등을 부각했다. 그러면서 “OECD는 우리 정부가 적절하고 신속한 정책 대응을 통해 국내 경제 충격을 완충한 것이 주효했다고 평가했다”며 “양호한 재정 건전성을 바탕으로 재정지출을 확대한 것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적절한 조치였다고도 진단했다”고 밝혔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