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가 프로스포츠에 경기장 수용인원 30% 관중 입장을 허용했지만 현장에서는 앞뒤가 맞지 않는 정책이라는 소리가 나오고 있다. 강화한 좌석 간 거리두기 지침을 적용했을 때 이를 온전히 적용할 수 있는 사례는 사실상 없다는 이유다. 실제 프로스포츠 경기장에서도 20%를 넘나드는 수준으로만 입장이 허용되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1일 정부의 입장 허용 기준 확대 지침에 따라 경기장 수용가능 인원의 30% 수준까지 입장을 허용하기 시작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역시 14일 경기부터 K리그 관중 입장허용 기준을 경기장 수용가능 인원의 25%까지 늘린다. 그러나 국민일보가 이날 각 구단에 문의한 결과 종목을 막론하고 25%까지도 좌석을 열 수 없는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지난달 26일 10% 관중 입장을 허용하면서 문화체육관광부는 좌석 간 전후좌우 1칸씩 떨어져 앉도록 하라고 각 프로스포츠 단체에 지침을 내렸다. 그러나 이틀 뒤 롯데 자이언츠 홈구장인 부산 사직구장에서 거리두기 실패 사례가 생긴 뒤 문체부는 현장 관중 간 거리를 1m 이상으로 하라고 새로 강조했다. 이에 따라 KBO와 연맹은 기존 지침을 수정해 관중 간 거리를 좌석 2칸 이상으로 조정했다.
그러나 이를 적용한 결과 새 허용치인 30%가 적용될 수 있는 현장은 없다시피 하다. 프로스포츠 구단들은 좌석 간 2칸을 띄우는 지침대로라면 30%에 가까운 관중 입장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 프로구단 관계자는 “이대로라면 허용되는 숫자를 40%로 늘리든 50%로 늘리든 소용이 없다”면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건 많아봐야 20% 내외가 최대치”라고 설명했다.
다른 구단 관계자도 “수차례 시뮬레이션을 해봤지만 현 지침대로라면 30%는커녕 25%도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지정좌석이 아닌 곳도 있고 마주 보는 형태의 가족석이 있는 경기장도 있다. 계산에서 뺄 수밖에 없는 좌석”이라면서 “거리두기를 유지하려면 어차피 관중석을 다 사용할 수가 없다. 결국 허용할 수 있는 건 20% 내외가 될 것 같다”고 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처음 방역 당국과 협의 당시에도 문체부는 좌석을, 방역 당국은 거리를 기준으로 이야기 하다 보니 합의점을 찾기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도 (전후좌우 한 칸씩 거리를 두는) 문체부 지침은 그대로다. 다만 이는 50% 입장을 전제하고 만든 것이라 방역을 위해 노력하자는 취지에서 다시 거리두기를 강조했던 것”이라면서 “모순된 지점이 있다면 방역 당국과 충분히 조정해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효석 기자 promene@kmib.co.kr
‘수용인원 30%’ 허용? 현실 안 맞는 관중 입장
입력 2020-08-12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