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조원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태도가 논란이 되고 있다. 그는 지난 7일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및 다른 수석들과 함께 사의를 표명했다. 그러나 사표가 수리되지 않은 시점에 열린 대통령 주재 회의에 불참했고, 이후 후임을 발표하는 인사 발표 현장에도 오지 않았다. 이번에 같이 자리에서 물러난 강기정 전 정무수석과 김거성 전 시민사회수석이 “영광이었다”고 소회를 밝힌 것과 대조적이다. 때문에 인사 조치에 대한 반발을 우회적으로 드러낸 ‘뒤끝 퇴직’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청와대는 이에 대해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김 전 수석이 사의를 표명한 당일 대통령과 독대해 인사했고, 10일부터 원래 휴가가 예정돼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후임자가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민정수석이 굳이 휴가를 내고, 수석·보좌관회의와 후임 인선 자리에 나타나지 않은 것은 관행을 무시한 처사라는 지적이다. 일반 회사에서도 주요 보직을 맡고 있으면 후임자와 공백이 생기지 않도록 끝까지 임무를 다하는 게 보통이다. 하물며 막중한 책임을 맡은 청와대 민정수석의 이 같은 처신은 우리 사회 고위 공직자 상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그는 청와대 고위 참모 다주택 문제의 핵심에 있었다. 지난해 말 ‘1주택을 제외하고는 처분하라’는 노 실장의 지시에도 미적댔다. 결국 서울 강남구 도곡동 아파트를 남기고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를 처분하기로 했다. 그러나 시세보다 2억원 이상 높은 가격에 내놨다가 철회해 진정성에 의심을 받았다. 청와대도 해명 과정에서 “남자들은 잘 모른다”는 어처구니없는 변명으로 비난을 자초했다. 이는 대통령을 최측근에서 보좌하는 고위 공직자의 자세가 아니다. 현 정부의 국정철학과 의견이 맞지 않으면 다주택을 포기하라는 지침이 있을 때 직을 내려놓았어야 했다. 그게 아니라면 솔선수범하는 자세를 보였어야 마땅하다. 그가 똘똘한 강남 아파트 2채를 들고 유유히 청와대를 빠져나가자 여론은 들끓고 있다. ‘직보다 집을 선택한 것 아니냐’는 비판에도 할 말이 없게 됐다. 여권에서조차 처신이 부적절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고위 공직자들이 새겨 들어야 할 지적이다.
[사설] 김조원의 처신… 이게 고위 공직자 자세인가
입력 2020-08-12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