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독일 지멘스 같은 세계적인 녹색기업을 키운다.’
환경부는 기후·환경 위기에 대응하는 동시에 친환경산업을 우리 경제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하는 ‘그린 뉴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6일 밝혔다.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은 정부가 지난달 14일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한 축인 그린 뉴딜의 3대 분야 중 하나다. 녹색혁신기업 육성과 녹색산업 성장기반 구축 등 세부과제로 구성된다. 환경부는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에 2조9000억원을 투자해 약 2만4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복안이다.
우선 녹색산업을 선도할 혁신기업을 집중 육성키로 했다. 유망 창업아이템을 보유한 녹색 분야 예비·초기창업 기업에 홍보·마케팅, 판로 확대, 사업화자금 등을 제공해 성공적인 창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소벤처기업부와 협업해 2022년까지 녹색 분야 유망기업 100개를 선정, 기술개발부터 해외 진출까지 최대 3년간 밀착 지원한다.
청정대기산업 클러스터는 광주에 2022년까지 조성된다. 대기오염원별 실증화 시설 등을 갖추고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기술개발에 나선다. 인천 환경산업연구단지에는 2022년까지 자생생물 증식 인프라를 조성해 중소·중견기업에 최소 비용으로 제공한다. 강원도 춘천에는 2027년 완공을 목표로 소양강댐을 활용한 수열에너지 융복합클러스터를 조성한다.
환경부는 녹색혁신기업의 투자를 뒷받침하기 위해 공적 재원으로 녹색자금을 조성하고 민간투자 유입을 위해 녹색금융제도도 개선할 계획이다. 녹색기업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미래환경산업 융자를 2025년까지 총 1조9000억원 조성해 제공한다. 녹색 신산업에 투자가 이뤄지도록 2025년까지 2150억원 규모로 민관 합동 펀드를 조성하고, 2025년까지 총 2만명의 녹색융합 기술 인재도 양성한다.
모규엽 기자 hirt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