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갈등 낙동강 물 관리, 이젠 힘 합쳐 해결한다

입력 2020-08-06 04:07
낙동강 전경. 국민DB

물 이용 문제를 두고 50년 넘게 이어져 온 낙동강 유역 상하류 지역 간 갈등이 조만간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전망이다. TK(대구·경북)와 PK(부산·울산·경남)가 힘을 합치면서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권영진 대구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김경수 경남지사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는 5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열린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에 참석해 ‘물 문제 해결을 위한 낙동강 유역 상생발전 협약서’에 서명하고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지금껏 낙동강 수질 개선 문제와 대체 취수원 대책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논의됐지만, 지역 갈등으로 번번이 해결하지 못했다. 그러나 당사자인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상생발전 협약을 체결하면서 근본적인 물 문제 해결이 기대된다.

협약서에 따르면 영남권 5개 시·도는 낙동강 유역 취수시설 추가 설치를 위해 중앙부처와 협력하고 낙동강 통합물관리 방안을 한국판 뉴딜 계획에 추가 반영해 사업이 신속히 추진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또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을 위해 오염 방지와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방안 등을 추진한다.

협약식에 이어 시·도지사들은 조명래 환경부 장관과 함께 낙동강 본류 수질 개선 대책과 맑은 물 공급 방안 등을 공유했다. 특히 낙동강 상하류 지역에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도 제시됐다.

낙동강 유역 통합물관리 방안에 따르면 합천 황강 하류에서 45만t, 창녕 강변여과수 50만t 등 하루 95만t의 물을 취수해 경남과 부산에 공급한다. 개발한 물은 창원 31만t, 김해 10만t, 양산 6만t, 함안 1만t 등 경남 동·중부 지역에 48만t을 우선 공급하고 남은 물 47만t을 부산지역에 제공하는 방안이다. 부산지역 표류수 대체량 95만t 가운데 부족량 48만t은 낙동강 원수를 초고도 정수처리 또는 기수 담수화 처리해 공급할 계획이다.

환경부와 5개 지자체는 지자체별 지역 전문가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자문단 회의와 공청회, 토론회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