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PK 광역교통망 연결… 5개 시·도 협력 ‘제2 수도권’ 구축

입력 2020-08-06 04:03 수정 2020-08-06 04:03
영남권 5개 시·도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5일 경남도청에서 제1회 영남권미래발전협의회를 가진 뒤 서로 손을 잡고 기념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경수 경남지사, 권영진 대구시장, 송철호 울산시장, 이철우 경북지사,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경남도 제공

부산·대구·울산·경남·경북 등 5개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이 5일 합의한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는 사람과 산업, 첨단기술의 수도권 쏠림 현상을 없애고 ‘지방의 도약’을 위한 마중물이라 할 만하다. 대한민국 제2, 제3의 도시로 충분한 소비시장과 인구를 갖춘 부산 대구, 산업 일번지인 울산, 경북 경남의 관광자원을 효과적으로 동원해 제2의 수도권을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광역전철 철도망 건설이 선결과제

기획재정부의 정의에 따르면 메가시티란 도시를 중심으로 일일 생활이 가능하도록 기능적으로 연결 대도시권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창출이 가능한 경제 규모로 평가받는 1000만명 이상의 인구를 갖춘 거대도시를 일컫는다.

그랜드메가시티 구상의 첫 번째 전제는 TK(대구·경북)와 PK(부산·울산·경남)를 촘촘하게 연결하는 광역교통망의 구축이다.

서울과 경기도는 이미 오래전에 대중교통인 전철과 지하철, 버스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해 일일 출퇴근이 가능한 광역교통망이 형성돼 있다. 지난해 국토교통부의 대중교통 현황조사에 따르면 수도권의 대중교통 접근성은 84.51%인 반면, 영남권은 73.58%에 불과했다.

수도권 광역교통망은 중앙정부와 재정자립도가 높은 서울·경기도에 의해 건설된 것이다. 수도권 지하철과 전철은 정부가 구축한 철도망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으며 서울과 주변 지자체 연결 교통망도 지자체들이 건설에 참여한 경우는 많지 않다. 엄청난 비용이 드는 광역교통망을 지방정부가 다 부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영남권 광역단체장들이 한목소리로 “광역교통망 건설에 중앙정부가 나서 달라”고 요청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영남권 5개 시·도는 수도권과 비(非)수도권 격차 해소를 위한 ‘권역별 광역 철도망’ 구축을 중앙정부에 제안하고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급행철도(MTX) 건설을 요청하기로 했다.

수소경제·스마트시티의 ‘테스트베드’

수소에너지는 차세대 자동차와 차세대 전력생산의 핵심 동력원으로 꼽힌다.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의 중심이기도 하다. 수소경제를 실현하기에 TK와 PK만큼 좋은 입지는 없다는 게 5개 시·도 단체장들의 생각이다. 현대자동차가 입지한 울산이 있고, 충분한 인구를 갖춘 부산·대구는 빠르게 수소경제로 전환할 수 있는 대도시이기 때문이다.

수소경제뿐 아니라 사회적 인프라를 5G 통신과 사물인터넷으로 연결하는 스마트시티를 실현하기에도 영남권이 최적의 입지를 갖췄다는 설명이다. 울산의 자동차산업, TK의 전자산업 등이 메가시티라는 공간을 통해 화학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울·경의 동남권 신공항과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부산항 등이 광역교통망으로 결합되면 관광은 물론 국가 전체의 물류를 책임질 체계가 갖춰질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5개 시·도 단체장들이 미래발전협의회를 마련한 것도 바로 이런 시너지 효과 때문이다. 영남이 합치면 수도권 못지않은 인구 흡인력과 산업 유인 효과, 일자리 창출, 첨단기술 현실화가 가능하다고 판단한 셈이다. 정부가 영남을 ‘한국형 뉴딜’의 주요 투자처로 여기고 있는 것도 큰 강점이다.

5개 시·도는 이를 위한 장기적 협력의 틀을 마련하고 발전 청사진을 공동으로 마련할 계획이다.



창원=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