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주택 공급을 위해 육군사관학교 이전설이 떠도는 가운데 지방자치단체들이 서로 유치하겠다며 손을 들고 나섰다. 정부가 ‘이전을 검토하지 않는다’며 선을 그었음에도 벌써 상당수 지자체가 균형발전을 내세우며 물밑 경쟁을 벌이고 있다.
5일 전국 지자체에 따르면 전북 장수군을 비롯해 경기 동두천시, 충남 논산시, 강원 화천군, 경북 상주시 등 5곳이 육사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각 지자체들은 ‘태릉 그린벨트 해제’가 사실상 육사 이전을 의미하는 것이라 판단하고 있다.
장수군은 지리적 장점과 뛰어난 교통 여건 등을 내세우고 있다. 군사 대치·접경 지역에서 멀고, 고속도로와 국도 각각 3개 노선 등 도로 여건도 뛰어나다고 설명하고 있다. 전북도도 장수군을 적극 지원키로 했다.
경기도는 균형발전을 내세워 접경지역에 육사 이전을 공개 건의하며 논의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동두천시가 주한미군 공여구역인 캠프 호비를 내세워 유치전에 나섰다.
충남도도 3군 본부와 육군훈련소, 국방대 등을 앞세워 논산이 최적지라며 주장하고 있다. 화천군은 동서고속철역 인근을 이전 부지로 제시하며 ‘산악훈련 등 군사훈련에도 이점’이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상주시도 전국 어디서나 2시간대 접근이 가능한 교통과 서울시 두 배 면적의 다양한 체력장, 전술훈련장 등을 내세우고 유치전에 가세했다.
하지만 정부의 공식 입장은 단호하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지난 4일 “태릉골프장 택지개발만 검토했지 육사 이전 등은 검토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정세균 국무총리도 지난달 23일 국회 답변에서 “육사 부지에 대해서는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장수=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