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지역에 기록적인 폭우가 내린 지난 2일 오전, 김석범(46) 제천 산곡감리교회 목사는 전화로 성도들의 안부를 물으며 예배를 드리기 힘들 것 같다는 소식을 전하고 있었다. 산사태로 떠밀려온 흙더미와 부유물이 인근 저수지 수문을 가로막으면서 둑이 무너졌고 하천이 범람해 시내에서 교회가 있는 마을로 들어오는 길은 자취를 감춘 상황이었다.
“밤사이 물 폭탄이 쏟아져서 오전부터 동네 주민들에게 대피하라는 안내방송이 나왔어요. 교회 앞 마을회관에 어르신들이 한두 분 계시기에 인사 나누며 댁으로 안내하고 있는데 갑자기 고개 너머에서 진흙 범벅이 된 아이를 안은 아주머니들이 쏟아져 내려왔습니다. 아비규환이었죠. 본능적으로 큰일이 났다 싶었습니다.”
인근 캠핑장에 엄청난 양의 빗물과 토사가 덮쳐 차량과 텐트까지 버려둔 채 황급히 대피한 사람들이었다. 가족을 먼저 대피시킨 뒤 미처 사고 현장을 빠져나오지 못한 한 가장의 사망 소식까지 전해지며 야영객들의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었다. 마을회관으로 향한 사람들은 이내 걸음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최대 수용인원이 30여명에 불과했기 때문이다.
김 목사는 4일 “뒤늦게 대피한 분들까지 160여명이 내려온 상황이라 다급하게 교회로 안내했다. 예배당이 긴급대피소로 변한 순간이었다”고 설명했다. 다중이용시설인 교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도 문제였다. 김 목사는 제천시청, 보건소와 협력해 대피객들의 신원을 파악하고 체온을 확인하며 자료를 기록했다.
교회 주방은 대피객을 위한 간이식당이 됐다. 시에서 지원한 컵라면 빵 음료가 경황없이 사고현장을 떠난 이들의 허기를 채웠다. 이날 오후 3시, 시에서 마련한 버스를 이용해 공식 대피소가 마련된 제천체육관으로 이동하기까지 교회는 여행객에서 갑작스레 피란민 처지가 된 이들을 위한 피난처가 돼줬다. 김 목사는 “성도들에게 예배 취소 연락을 할 때만 해도 안타까운 마음이 앞섰는데 돌이켜보니 하나님께서 고난당한 이들을 위해 예배당을 예비해두신 것 같다”고 말했다.
야영객들에게 휘몰아친 위기의 현장은 일단락됐지만 제천 지역의 시름은 여전하다. 쓸려온 토사 사이로 물이 흘러 전에 없던 계곡이 생겼고, 수마가 할퀴고 간 주민들의 보금자리는 형체를 알 수 없을 만큼 부서졌다.
김 목사는 “동네 곳곳이 발목이 푹 빠질 정도로 진흙밭이 됐지만 막막한 심정으로 도움을 기다리는 주민들이 있어 팔을 걷어붙일 수밖에 없다”며 복구현장으로 갈 채비를 했다. 그러면서 “부임 4년여 만에 처음 겪어보는 수해지만 교회가 위기의 때에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절실히 느끼고 있다”며 “폭우에 따른 피해가 더이상 없도록 기도해달라”고 요청했다.
최기영 기자 ky710@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