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분열이나 국가정권 전복 등의 행위에 대해 최고 종신형에 처하도록 한 홍콩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지 한 달이 지났다. 길지 않은 시간이지만 과거의 자유로운 홍콩은 사실상 끝났다는 점이 명확해졌다. 도심 시위가 사라졌고, 홍콩 엑소더스가 이어지고 있다.
29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홍콩 ‘우산 혁명’을 주도했던 베니 타이(56) 홍콩대 법대 교수가 해임됐다. 홍콩대 이사회는 전날 회의에서 타이 교수 해임안을 찬성 18표, 반대 2표로 통과시켰다.
2014년 홍콩 도심에서 진행된 우산 혁명을 주도하는 등 민주화운동을 활발하게 펼쳐온 타이 교수는 지난해 4월 공공소란 혐의 등으로 징역 16개월을 선고받았다.
홍콩대 이사회는 법원 1심 판결을 이유로 그를 해임시켰다. 타이 교수는 오는 9월 입법회 선거를 앞두고 야권 예비선거 등을 주도적으로 이끌어왔다. 타이 교수는 “나의 해임 결정은 홍콩대가 아니라 대학 배후의 기관이 내린 것”이라며 “홍콩 내에서 학문 자유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반발했다. 타이 교수와 함께 재판을 받은 슈카춘(50) 홍콩침례대 강사도 다음달 계약 종료를 통보받았다.
타이 교수 사례는 홍콩보안법 시행 후 달라진 홍콩의 사상통제 분위기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지난 1일 홍콩보안법 본격 시행 후 홍콩에서는 반중 시위가 사라졌다. 홍콩 주권반환 기념일을 맞아 그날 벌어진 도심 시위가 사실상 마지막 반중 시위로 기록될지 모른다.
또 ‘데모시스토당’과 ‘홍콩민족전선’ ‘홍콩독립연맹’ 등 홍콩 민주파 단체 7곳이 해산을 선언했다. 그만큼 민주 진영이 느끼는 공포감이 크다. 홍콩독립연맹 창립자 웨인 찬은 해외로 도피했고, 우산 혁명의 주역 중 한 명인 네이선 로는 영국으로 망명했다.
궁지에 몰린 민주파는 오는 9월 입법회 선거에서 권토중래를 노리고 있지만 코로나19를 핑계로 한 선거 연기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홍콩 행정회의는 전날 캐리 람 행정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코로나19가 계속 확산할 경우 9월 입법회 선거 연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친중파 진영 역시 패색이 짙은 입법회 선거 연기를 강하게 주장해 왔다.
시민들의 ‘탈홍콩’ 바람도 거세다. 이민 컨설팅 업체들에는 영국 캐나다 호주 미국 등으로의 이민을 문의하는 사람이 급증했다. 대만이나 영국 호주 등으로 유학을 떠나려는 학생도 크게 늘었다.
서방 국가들의 압박으로 홍콩의 고립도 심화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4일(현지시간) 홍콩에 대한 특별지위를 박탈하는 행정명령을 내렸다. 기밀정보 동맹체인 파이브아이즈(Five eyes)에 소속된 미국 뉴질랜드 영국 캐나다 호주 등 5개국은 모두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 조약 중단을 선언하며 사법적 관계를 단절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