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에 이어 인천항도 뚫리면서 항만 방역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당장 하반기에 외국 선박 3만7800여척과 외국인 유학생 5만5000여명이 입국한다. 정부는 하반기 입국 수요를 미리 파악해 선제적 방역에 나서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입국자 관리의 주요 시설인 임시생활시설 추가 확보는 계속 난항을 겪고 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29일 0시 기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전일 대비 48명 늘어 총 확진자가 1만4251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14명은 지역사회 감염이었고 해외유입 사례는 34명이었다.
해외유입은 주로 항만을 통해 발생하고 있다. 앞서 32명의 확진자가 무더기로 나온 러시아 선박 ‘페트르1호’에서 이날 12명의 선원이 추가 확진 판정을 받았다. 부산항에서 발생한 선원 누적 확진자는 90명이 됐다.
인천항에서도 러시아 국적 6800t급 화물선에 타고 있던 60대 러시아인 선원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이 선박은 지난 26일 입항해 승선검역이 이뤄졌으나 유증상자는 없었다. 하지만 전수 진단검사에서 무증상자 1명이 양성 판정을 받았다. 나머지 선원 19명은 음성이었다.
국내 주요 항구가 뚫리면서 방역 당국에도 비상이 걸렸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3만7821척의 선박이 해외에서 국내로 입항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역 과정에서 항만 근로자와 접촉이 많은 원양·냉동선은 1581척, 선박 수리 목적으로 입항하는 경우는 572척으로 예상된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브리핑에서 “선박수리업의 경우 무전기 활용 등을 통해 선박 측 관계자와 접촉을 최소화하는 내용을 방역수칙에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방역 당국은 2학기 개학을 맞아 외국인 유학생이 최대 5만5000명 입국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이에 대한 대비책도 마련하고 있다. 지난 1학기 정부는 대학,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유학생 입국 시 거주지까지 이동을 지원하고 건강상태를 모니터링했다. 그 결과 총 23명이 확진됐으나 공항검역이나 지자체 검사과정에서 확인돼 추가적인 지역사회 전파는 없었다.
손 반장은 “9월 개학을 앞두고 외국인 유학생의 입국이 특정 시기에 집중되면 대학, 지자체 방역관리에 부담이 우려되므로 되도록 자국 내 원격수업을 유도하거나 입국하더라도 자가격리 거소를 먼저 확보하고 입국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입국자 관리의 핵심인 임시생활시설은 추가 시설 확보가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다. 안전성 때문에 주민 반대가 심한 데다 최근 입소 외국인이 무단이탈하는 사례가 나오면서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손 반장은 “임시생활시설은 1차 검사 결과 음성인 사람들을 격리하는 시설”이라며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돼 있다는 점과 우리 모두의 안전과 공익을 위한 시설이라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
▶
최예슬 기자 smar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