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벼 품종 중 생육 기간이 가장 짧고 유일하게 이기작에 성공한 ‘빠르미’보다 더 짧은 기간에 수확할 수 있는 쌀이 충남에서 개발됐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은 기술원 연구포장에서 벼 이기작 현장 시연회를 갖고 ‘더빠르미(충남16호)’ 개발에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이와 함께 ‘한반도 벼 이기작 시대’ 개막을 선포했다. 양승조 충남도지사와 김명선 도의회 의장, 농업인 등 50여명이 참석한 현장 시연회는 연구 성과 보고, 빠르미 시식, 벼 이기작 수확 및 이앙 시연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빠르미는 도 농업기술원이 2009년부터 국내·외 조생종 품종을 교배해 개발한 극조생종이다. 이앙부터 수확까지 걸리는 기간은 국내 벼 품종 중 가장 짧은 70~90일에 불과하다. 기존 품종 중 생장 기간이 가장 짧은 진부올벼보다는 10일 이상, 충남 대표 품종인 삼광보다는 50일 이상 짧다.
이번에 도 농업기술원이 개발한 더빠르미는 빠르미보다 4일가량 앞서 수확이 가능할 전망이다. 5월 12일 이앙한 빠르미의 경우 지난달 29일 이삭이 팼지만, 더빠르미는 같은 달 25일 이삭이 나왔다 도 농업기술원은 향후 도내 각 지역에서 재배 시험을 진행한 뒤 오는 2022년 품종을 출원할 계획이다.
빠르미와 더빠르미를 개발한 도 농업기술원 윤여태 박사는 “빠르미는 타 작목 연계 재배, 농자재 사용 감소 등의 장점이 있어 품종 보급 시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더빠르미는 빠르미보다 수량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밥맛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벼의 생육 기간을 단축하면 농업용수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비료·농약 사용량도 감축할 수 있고 시설하우스에서 재배할 경우 염류 제거 효과도 있다. 양승조 지사는 “통일벼가 1975년 국민의 배고픔을 해결하고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면, 빠르미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우리 농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예산=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