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결성된 영남권미래발전위원회는 ‘영남권 메가시티’ ‘광역단체 행정통합’ ‘낙동강 통합 물관리’ ‘영남권 광역교통망 구축’ 등 주요 의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부산·대구·울산·경북·경남 등 5개 시·도지사가 구성한 실무협의체다.
미래발전위원회의 초대 회장은 송철호 울산시장이 맡고, 김경수 경남지사가 간사 임무를 수행하기로 했다.
영남권이 공동으로 논의할 의제를 구체화하기 위한 실무위원회도 구성한다. 실무위원회는 5개 시·도 기획조정실장과 연구원장 등이 참여한다. 다음 달 5일 경남 창원에서 열릴 첫 회의에서는 낙동강 통합 물관리 방안, 영남권 광역교통망 구축 등 5개 시·도 공동 과제에 대해 우선 머리를 맞댄다.
포럼에서 5개 시·도지사는 수도권과 경쟁하고 영남의 미래 발전을 위해서 비수도권이 권역을 나눠 권역별로 발전전략을 짜야 한다는데 동의했다. 김 지사는 동남권 메가시티를 조성해 함께 수도권에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소득격차 지역격차 남북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반드시 이뤄져야 하는 지역 균형발전을 위해 접근성 문제를 우선 해결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처럼 수도권으로 사람과 돈이 몰려가는 이 현상을 해결하지 않으면 부동산 문제도 해결이 안 된다”며 “메가시티 조성 방안은 부동산 가격을 잡는 데도 일조할 것”이라고 했다.
영남권을 하나로 묶는 광역철도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대구·경북 500만명, 동남권 800만명 등 1300만명 정도의 인구가 광역권으로 형성돼야 수도권에 대응하는 경제권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이 같은 광역경제권과 생활권을 하나로 묶는 철도망 구축은 수도권처럼 국가가 책임지고 만들어야 한다고도 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전철광역철도망을 제안했다. 이 지사는 “영남권이 하나가 되려면 전철화해서 시간 배차를 늘리면 부산 대구 창원 울산 등에 접근이 쉬워져 발전한다”고 했다. 이어 동남권과 대구·경북의 행정통합 추진도 필요하다고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도 대구·경북은 행정통합을 위해 이미 오랫동안 논의를 진행해 오고 있다고 했다. 권 시장은 영남권 경제공동체를 넘어 남부권 경제공동체를 만들어야 한다고도 했다. 또 호남을 문화수도로, 부울경을 금융수도로, TK를 사법수도로, 강원도를 관광수도로 계획하고 국가 구조를 대개조하는 방안도 내놨다.
권역별 발전을 모색하는 곳은 비단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일본의 ‘간사이 연합’이 탄생할 수 있었던 것이 일본 지방자치법상 ‘특별지방공공단체’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광역권 연합이 성공적으로 안착하려면 단계적 추진 중요하다”면서 “영남권 연합 이전 단계로 동남권 연합이 필요하고 대경권 협력도 같은 의미”라고 했다.
송 시장은 “영남의 미래가 영남권미래발전위원회를 기점을 바뀌지 않을까 한다”면서 “여러 방면으로 영남의 단합과 단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YEONGNAM FUTURE FORUM 2020]
▶
▶
▶
▶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