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중소기업에 금융 지원하고 비상경제회의 가동

입력 2020-07-27 20:40
부산KBS가 27일 부산 부산진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2020 영남미래포럼’을 촬영하고 있다. 포럼은 오는 31일 오후 7시40분 KBS1 부산, 대구, 울산, 경북, 경남 등 영남권 전역에서 방영될 예정이다. 부산=윤성호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심각한 소비 위축 상황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경제가 더 힘들게 됐다. 영남 5개 지방자치단체는 핵심 경제역량을 결집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할 계획이다.

27일 국민일보 주최로 부산에서 열린 ‘영남미래포럼’에서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은 “3단계로 나눠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지난 5월 ‘경제활성화 전략회의’를 신설했다. 내수경기 활성화(1단계)를 위해 시민 주도의 ‘착한 소비, 착한 나눔’ 운동 등을 벌였다. 제조업 경영 안정화(2단계)를 위해 제조업 전용 정책금융(1000억) 등 8400억원 규모의 정책자금을 공급한다는 목표도 세웠다. ‘부산형 뉴딜’(3단계)의 성공을 위해서도 노력하기로 했다. 한국판 뉴딜과 연계해 최근 급부상한 비대면 산업, 디지털·스마트 산업, 헬스·방역 산업을 집중 육성한다. 장기적으로는 200여개국에서 5050만명이 참여하는 ‘2030 등록엑스포’를 유치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을 방침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시민과 기업이 살아남는 것이 가장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구시는 관련 기관·기업들과 2주에 한 번씩 비상경제대응회의를 열고 있다. 먼저 2차 생계자금 지원, 대구행복페이 확대 발행, 착한소비운동 등을 통해 민생경제 회복에 나서고 있다. 중소기업을 위한 경영안전자금을 당초 8000억원 규모에서 2조2000억원 규모까지 확대했다. 장기적으로는 지금까지 6년간 추진한 미래형 자동차, 의료, 로봇, 물산업, 에너지 등 미래 신사업 ‘5+1’ 분야를 정부의 디지털·그린뉴딜 정책과 연계해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송철호 울산시장은 “울산형 뉴딜 사업을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비하고 있다”고 했다. 울산시는 상공회의소, 대학 등과 비상경제회의를 만들어 대응 중이다. 단기적으로는 속도감 있는 재정 투입을 통해 경기를 부양하고 좋은 일자리를 늘려갈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최근 정부에서 발표한 160조원 규모의 한국판 뉴딜과 연계해 부유식 해상풍력, 수소경제, 미래형 자동차, 게놈사업 등 신산업을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지난해 선정된 수소 그린모빌리티 규제자유특구를 울산의 대표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단기와 중장기 계획으로 나눠 지역 경제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강력한 구조조정을 통해 1·2차 긴급추경을 편성(1조3245억원)하는 등 지역 살리기에 나서고 있다. 또 긴급 재정수혈에 나서 소상공인 특별경영자금 1조원 3무(무이자·무담보·무보증) 지원, 중소기업 특별경영자금 1조원 지원 등의 대책을 시행한다. 중장기적으로 ‘경북형 뉴딜’로 뉴노멀 시대를 대비한다. 통합신공항(물류)과 행정통합, 영일만대교 같은 핵심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을 벌이고 2차전지, 인공지능(AI), 5세대 이동통신(5G), 신약 개발 등 4차 산업혁명 선도 분야에도 집중 투자한다.

김경수 경남지사는 “어려운 계층에 먼저 위기가 오는 만큼 3단계 경제활성화 대책을 통해 경제적 격차를 줄이겠다”고 말했다. 앞서 코로나19 유행 시기 긴급재난지원금 등을 통해 소상공인을 도운 경남도는 2단계로 경제 위축에 대비하는 ‘고용 및 소비유지’ 대책을 추진 중이다. 3단계로는 제조업 등 경남의 기간산업 지원 등을 통한 ‘핵심산업 기반유지’ 정책도 추진한다. 경남도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가적 흐름이 ‘한국판 뉴딜’이라고 보고 이에 대응하는 ‘경남형 뉴딜’로 균형발전을 이끌 계획이다.

[YEONGNAM FUTURE FORUM 2020]





부산=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