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광역단체, 지역 뛰어넘는 방역체계 구축 역설

입력 2020-07-27 21:09
전염병에 대응하는 방역시스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 영남권 5개 광역단체는 코로나19 위기를 극복하고 대전환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협력과 연대를 통한 초광역 방역체계 구축을 역설했다.

코로나19 이후 방역을 강화하고 지역의 특징을 살린 방역대책도 수립·시행할 계획이다. 시민을 대상으로 한 생활방역도 변화를 맞고 있다.

부산시는 방역·경제·재정 쓰리트랙(3-track) 대응체계를 구축하고 코로나19 2차 대유행에 대비한 방역대책을 수립 중이다. 또 중앙정부에 질병관리청 권역별 질병대응센터 설립, 역학조사관 관리방안 개선을 제안했다. 광역권 병상 공동지원체계 구축으로 의료시스템의 정상적 작동에 나서는 한편, 국가 지원에서 제외된 취약계층에 대한 예방접종 사업도 강화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지역자원만으로 방역이 가능한 자체 대비계획을 수립·보완 중이다. 범시민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정부안보다 강화된 분야별 세부 생활 수칙을 만들고 ‘민·관 협력 생활방역’을 추진하고 있다. 선별진료소 운영형태 다양화와 중환자실 확보, 역학조사관 확충, 생활치료센터 확보, 의료장비 확보 및 의료계 협조를 통해 2차 유행에 대비하고 있다. 지역별 경험치와 데이터를 공유하고 연계 가능한 시스템화와 대구에 감염병 전문병원 2개 이상 설치를 제안했다.

울산시는 광역재난관리 시스템 구축과 감염병 공동관리, 의료자원 공동활용 등의 부분을 공동협력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부족한 공공의료 시설을 확충하는 한편 감염병 공동관리, 의료자원 공동 활용 등에 상호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영남권은 하나의 공동체로 방역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공유하고 지역 간 의료시설 공유를 위한 MOU 체결 등을 계획하고 있다.

경북도는 올가을 제2차 대유행에 대비해 감염병 대응 자문단, 역학조사관, 행정조직 개편 등 조직보강에 나설 계획이다. 역학조사관(의무직) 1명을 추가 채용하고, 기존 보건정책과와 더불어 공공의료과를 신설했다. 코로나19 확진자 1000명이 30일간 사용할 수 있는 감염 예방 물품도 확보해 두고 있다.

경남도는 고위험시설에 대한 관리 강화는 물론 다양한 지역감염 발생 및 확산 시나리오를 통한 대응력 강화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달 5일부터는 권역별 선별 진료 긴급지원팀을 운영하고 있다. 장기적으로 음압시설, 음압병실, 서부권 공공의료 확충사업 등 공공시설 확대도 추진한다. 도내 의과대학 신설 및 정원 확대도 계획하고 있다.

[YEONGNAM FUTURE FORUM 2020]





부산=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