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6G(세대) 통신기술 연구가 성급하다는 일부 지적에 반박하고 나섰다.
삼성전자의 통합 연구 조직인 삼성리서치 최성현(사진) 차세대통신연구센터장(전무)은 26일 삼성전자 뉴스룸에 기고한 ‘지금 우리는 왜 6G를 준비해야 하는가?’라는 제목의 글에서 “6G는 5G보다 훨씬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며 “선제적이고 과감한 투자가 없었다면 오늘날의 삼성전자는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센터장은 지난 14일 6G 백서를 공개하고 ‘새로운 차원의 초연결 경험(The Next Hyper-Connected Experience)’을 제공하겠다는 비전을 밝혔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 “5G 통신 기술도 아직 미비한데 벌써 6G를 얘기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최 센터장은 “세계 각국은 6G 미래기술 선점을 위해 무한경쟁 시대로 뛰어들었다. 5G가 상용화되기도 전인 2018년 미국과 핀란드를 시작으로 주요 국가들이 6G 선점을 위한 연구에 이미 착수했고, 우리나라도 6G를 국가 과제로 준비 중”이라고 지적했다. “최첨단 6G 통신 기술 준비 작업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기회 선점과 리더십 확보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실제 글로벌 시장에서 4G가 상용화될 당시 4개의 사업자만 존재했으나 5G 상용화 첫 해에는 20개 이상의 사업자가 활동했다. 그는 “통신은 사람과 사물이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술로, 통신 기술이 밑받침돼야 미래의 많은 기술들이 실현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 예로 자율주행차를 들고 이 기술을 완성하려면 실시간 통신 시스템이 중요하고 했다.
강주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