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23일 국회 인사청문회는 ‘사상 검증의 장’을 방불케 했다. 북한 외교관 출신인 태영호 미래통합당 의원이 이 후보자에게 주체사상에서 벗어나 ‘사상 전향’을 했느냐고 물었고, 이 후보자는 불쾌해하며 “(태 의원이) 남쪽 민주주의에 대한 이해도가 떨어진다”고 맞받았다.
이 후보자는 이날 청문회에서 야당 의원들의 사상 검증 공세에 정면 대응했다. 통합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가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초대 의장 당시 주체사상을 따른 것 아니냐고 따져 물었고, 이 후보자는 “그 당시에도 아니었고, 지금도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답했다.
태 의원이 “후보자는 언제 어디서 주체사상을 버렸느냐, 주체사상 신봉자가 아니라는 공개선언을 했느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전향이라는 것은 북에서 남으로, 혹은 남에서 북으로 간 사람이 하는 것이다. 사상 전향 여부를 묻는 건 아무리 청문위원의 질문이어도 온당하지 않다”고 반발했다. 태 의원이 재차 묻자 이 후보자는 “사상 검증과 전향을 강요하는 것은 다른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에서 사상 전향을 강요한 것은 독재정권 시절이었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이승만 정권은 괴뢰정권이냐’는 질문에는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 괴뢰정권으로 단정할지에 대해 여러 의견이 남아 있다고 본다”며 “국민이 선출한 선거를 통해 정부가 세워졌기 때문에 그 실체적인 진실을 볼 때 괴뢰정권이라는 주장에는 거리를 두고 있다”고 답했다. 이승만 대통령에 대해서는 “국부(國父)라고 하는 데 대해서는 다르게 생각한다. 국부는 김구 주석이 되는 것이 마땅하다”고 했다.
지성호 통합당 의원이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의 사진을 보여주며 누구인지 아느냐고 묻자 이 후보자는 “잘 알지 못한다”고 했다가 “사진으로는 (누구인지)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을 양해 바란다. 기회가 되는 대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했다.
대북 특사 의향을 묻는 말에 이 후보자는 “특사가 돼 평양을 방문하는 것이 경색된 남북 관계를 푸는 데 도움이 된다면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전면적 대화 복원과 즉각적인 인도적 교류협력을 재개하는 문제를 얘기하고 싶다”고 했다. 주한미군에 대해서는 “주둔하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했고, 한·미 연합훈련을 두고는 “훈련을 완전히 보류하면 (북한이) 새로운 메시지로 받아들일 수 있다”고 했다.
아들의 병역 문제에 대한 의혹 제기에 이 후보자는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야당 의원들이 아들의 병역 면제와 관련한 진료기록을 모두 제출하라고 요구하자 “아버지 된 입장에서 동의하기 쉽지 않다”고 거부했다. 이 후보자는 “아들이 아픈 것도 받아들이기 어려운데 덧씌워지는 누명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청문회에 달가운 마음으로 임하고 있지는 않다”고 했다. 김석기 통합당 의원은 이 후보자 아들이 강직성척추염에도 무게 40㎏의 물통을 들었다며 청문회장에 이와 비슷한 크기의 양동이를 직접 들고 나오기도 했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 후보자 아들의 의혹을 앞장서서 방어했다. 윤건영 의원은 아들이 유학한 스위스 학교 담당 교수에게 문의한 이메일에서 “어떤 부정이나 특혜는 있을 수 없다”는 답을 받았다고 밝혔고, 김영호 의원은 “도가 지나친 가족들의 신상털기는 자제해 달라”고 야당 의원들에게 요구했다.
심희정 기자 simcit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