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김태흠 미래통합당 의원이 22일 열린 21대 국회 첫 대정부 질문에서 설전을 벌였다. 김 의원의 공세를 추 장관이 적극 받아치면서 양측은 언성을 높였다. 여야 의원들 간에도 고성과 야유가 오갔다.
김 의원이 “추 장관은 ‘아들 신상을 건들지 말라’고 세게 말씀했는데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 문제에도) 강력 대처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묻자 추 장관은 “그 사건과 제 아들을 연결시키는 질문은 바람직하지 않다. 질의에도 금도가 있다”고 대응했다.
김 의원이 “왜 자꾸 따지려 그러느냐. 지금 싸우러 나오셨냐”고 하자 추 장관은 “싫은 소리를 들을 자세는 돼 있지만, 모욕적인 단어나 망신주기 위한 질문은 삼가 달라”고 받아쳤다.
추 장관은 유출 의혹이 제기됐던 법무부 입장문 초안에 ‘수명자’(법률명령을 받는 사람) 표현을 왜 썼느냐는 질의에는 “남자인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는 수명자를 쓸 수 있고, 나는 여자라서 수명자라는 용어를 쓰면 안 되느냐”고 반발했다.
최강욱 대표는 입장문 초안 유출 의혹과 관련해 추 장관에게 “연일 노고가 많으신데 저까지 불편을 드리게 돼 송구하다”고 말했다. 이를 두고 정진석 통합당 의원이 “변호하러 온 것이냐”고 비판하자 최 대표는 정 의원을 향해 “품위를 생각하시라. 국회부의장 하고 싶으면 올라와서 얘기하시라”고 맞받았다. 정 의원은 앞서 야당 몫 국회부의장으로 내정됐으나 민주당의 상임위원장 독식을 이유로 부의장직을 거부했다.
추 장관은 이른바 ‘검·언 유착’ 의혹으로 수사를 받는 한동훈 검사장에 대해선 “수사가 끝나면 감찰하겠다”며 “검사장은 법무연수원으로 발령을 냈기에 법무부 감찰 권한 안에 들어와 있다”고 밝혔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 검사장과 채널A 기자 간 녹취록을 본 소감을 묻자 추 장관은 “검사장으로부터 ‘일개 장관’이라는 막말을 듣는 데 대해 자괴감을 느꼈다”고 답했다. 또 자신에 대해 탄핵소추안이 발의된 것에 대해선 “국민께서 헤아려 주실 것”이라고 말했다.
박성중 통합당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을 거론하며 추 장관을 공격했다. 박 의원은 “항간에 기회는 문재인처럼, 과정은 조국처럼, 결과는 윤미향처럼, 대출은 이상직처럼, 지시는 추미애처럼, 대답은 김현미처럼, 뻔뻔하려면 최강욱처럼 이런 말이 유행하고 있다”며 “지금 민주당의 내로남불에 국민이 분노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