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처럼… ASF 방역 농장단위 전환해야

입력 2020-07-22 04:07

정세균 총리가 극찬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방역체계에도 아직 부족한 부분은 있다. 방역 최전선에 있는 이들은 광역 단위 방역의 피로도를 첫손에 꼽는다. 방역 담당자들의 업무가 과중한데 ASF 방역은 연중 무휴다. 농장 관계자가 참여하는 농장 단위 방역의 필요성이 대두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 방역 당국은 농장 관계자용 모바일 웹을 보급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코로나19에 비유하면 ‘사회적 거리두기’에서 ‘생활방역’으로 전환하는 셈이다.

ASF의 매개체가 될 수 있는 야생 멧돼지와 같은 예기치 못한 야생동물 질병과의 싸움에도 대비하기로 했다.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을 통해 국가 단위 방역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종 기술개발(R&D)도 추진한다. 방역의 중심축을 ‘사후 대응’에서 ‘사전 예방’으로 바꾸기 위한 조치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장 차단 방역 모바일 웹’을 개발·보급해 농장 단위 방역체계를 구축하겠다고 21일 밝혔다. 기존 체계와 다른 부분은 해당 앱의 이용자가 방역 관계자가 아닌 농장 관계자라는 점이다.

농장 관계자가 스마트폰을 활용해 각종 방역 수칙을 준수하는지 점검하고 신고하는 기능이 탑재된다. 모바일 웹에 접속한 뒤 ‘외부 울타리 설치 여부’ ‘축사 방충망 설치 여부’ 등을 사진을 찍어 전송하는 방식이다. 전송된 정보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으로 모여든다. 방역 담당자들은 한자리에서 전국 농장의 방역 상황을 점검할 수 있다.

업무 피로도 등을 고려한 조치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지자체 가축방역관이나 중앙정부 방역사 등 현장 방역담당자 1인당 담당해야 하는 축산농가는 95곳에 이른다. 특히 ASF는 매일 소독 여부나 시설 점검이 이뤄져야 하는 상황이다. 업무 피로도가 누적될수록 구멍이 생긴다. 농장 관계자들이 직접 점검인력으로 나서면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계산이다.

우선은 시범사업부터 실시한다. 이달부터 ASF 위협이 도사리는 경기·강원도 북부지역 돼지농장들이 시범사업에 참여한다. 이후 범위를 넓혀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연내 전국 돼지농장에 모바일 웹 시스템을 적용할 계획”이라며 “추후 소나 닭 농장으로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야생동물 방역도 전환기를 맞는다. 환경부는 10월에 ‘야생동물 질병 콘트롤타워’ 역할을 할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을 개원한다.

ASF 등 야생동물에서 질병이 발생하면 가축 전파 방지, 인수공동 감염병 대응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는다. 서식지 관리, 시설 관리, 살처분, 역학조사 순으로 체계화한 방역 조치를 기반으로 대응에 나선다.

환경부 관계자는 “국내 최초로 야생동물 질병 전담 국가기관을 신설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야생동물 질병 사전 진단과 예찰, 방역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R&D도 진행한다. 2022년까지 400억원을 투입해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바이러스 감염 실태, 방제기술 등을 개발할 계획이다. 2027년까지 ASF·구제역 등 가축전염병 백신도 개발한다. 모두 3000억원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ASF 등 야생동물 질병에 대한 종합적인 기술개발이 목표”라며 “사람·동물·생태계 관점에서 감염병 차단 연구를 병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하나의 'K방역']
▶①
▶②
▶③

세종=신준섭 기자 sman32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