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른 집값 상승세와 함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대비 토지자산 비중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전체 토지자산에서 서울과 경기도 지역이 차지하는 비중은 7년 만에 다시 증가로 돌아섰다.
한국은행이 21일 발표한 2019년 잠정 국민대차대조표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민순자산은 전년보다 1057조7000억원(6.8%) 늘어난 1경6621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명목 GDP 1919조원의 8.7배다. 이 비율은 전년(8.2배)보다 커졌다.
지난해는 토지자산을 중심으로 비생산자산이 542조7000억원(6.6%) 증가한 점이 눈에 띈다. 토지자산은 8767조원으로 전년보다 541조4000억원(6.6%) 늘어 전체 비생산자산 증가액의 99.8%를 차지했다.
명목 GDP 대비 토지자산 규모는 전년(4.3배)보다 확대된 4.6배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95년 이래 가장 컸다. GDP가 1.1% 늘어나는 동안 토지자산은 더 큰 폭인 6.6% 증가했다.
2001년 3.0배였던 이 배율은 노무현정부 말년인 2007년 4.4배로 정점을 찍은 뒤 꾸준히 줄어 2013년 4.0배까지 낮아졌다.
이후 소폭 등락을 거듭하다 2017년(4.2배)부터 상승세가 선명해졌다. 잇단 고강도 규제 정책과 함께 집값 상승세가 시작된 현 정부 집권 시기와 일치한다.
지난해 토지자산 중에서도 60.5%를 차지하는 건물 부속토지가 7.3% 늘어 농경지(5.1%)와 임야(3.9%) 등에 비해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건물 부속토지 중 주거용건물 부속토지(전체 토자자산의 38.0%)는 7.5%로 더 크게 늘었다. 공원과 체육용지 등 문화오락용 토지는 8.8% 늘었지만 규모가 전체 토지자산의 3.3%에 불과하다.
토지자산의 수도권 비중은 2010년 61.7%에서 2017년 56.6%까지 낮아졌다가 2018년 56.9%로 반등했다. 2012년 세종시 출범, 2013년 이후 지방 혁신도시 개발 등으로 낮아지던 수도권 지역 토지자산 비중이 2017년 이후 서울·경기를 중심으로 한 집값 상승세와 함께 다시 확대된 것이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