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선 불복과 제명으로 얼룩진 지방의회 의장 선거

입력 2020-07-22 04:02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로 출범한 지방의회가 후반기 의정활동을 재개했지만 곳곳에서 감투싸움으로 잡음을 내고 있다. 의회의장단 선출을 둘러싸고 당내 경선 불복이 공공연히 자행되면서 정당이 제명 등의 중징계를 무더기로 내리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전남도당 윤리심판원은 지난 15일 강진군의회 하반기 의장으로 당선된 위성식 의장을 포함한 8명에 대해 제명을, 5명에 대해서는 3개월간 당직자격정지 결정을 내렸다. 강진군과 구례군 의회에서는 다수당인 민주당이 소속의원들의 투표로 의장 후보를 결정토록 했으나 경선결과에 불복한 의원이 출마해 당선됐다. 이에 도당이 당론을 어긴 사유 등으로 징계처분을 내린 것이다.

선거 잡음은 전북 완주군, 김제시에서도 발생해 의회의장 등 2명이 제명됐다. 충남에서도 서산시의회 의장에게 제명이 통보됐고, 충북 괴산군 의장은 5년간 복당 불허 처분을 받았다. 부산 사하구에서도 의회의장 선거 과정의 해당 행위를 사유로 10명이 제명됐다. 미래통합당 우세 지역에서도 같은 현상이 빚어졌다. 부산 남구에서는 의원총회 결과와 달리 야당과 연대해 당선된 의회의장이 제명됐다. 대구 동구와 경북 경산에선 의장단 선출 과정에서 금품 살포 의혹이 제기돼 수사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지방의원들이 자질 시비에 휘말리고 각종 비위나 불요불급한 외유 등으로 도마 위에 오른 건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하지만 관용차와 수행비서에 매달 수백만원의 업무추진비를 받는 자리를 차지하려 이전투구를 마다하지 않는 모습은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지방의회마다 선거 사정이 조금씩 다를 수 있겠으나 민주당, 통합당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전국 곳곳이 선거 불복과 담합, 징계로 얼룩지는 것은 개탄스럽다. 코로나19 사태에 대한 대응에 지방의회가 할 일도 산적한 상황인데 자리다툼과 그 여파로 홍역을 치르고 있는 모습이 한심하다. 지방의회 선거 과열과 혼탁을 막으려는 여야 중앙당의 노력이 이해가 가는 측면도 있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의회의장단 선출권은 지역의회 의원들에게 있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소통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