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임순영 젠더특보 심야 소환 조사

입력 2020-07-21 04:03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을 풀 핵심인물로 꼽히는 임순영(사진) 젠더특보가 경찰에 출석해 참고인 조사를 받았다. 임 특보는 박 전 시장이 사망하기 전에 성추행 피해자의 고소 동향을 가장 먼저 알린 인물이자 서울시 내부 직원들의 성비위 사실을 보고받는 지위에 있었다. 박 전 시장 고소사실 유출과 서울시의 성추행 묵인·방조 혐의에 대한 경찰의 수사가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 성북경찰서는 20일 “임 특보를 오후 9시30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박 전 시장의 정확한 사망경위와 피해자의 성추행 피해 호소를 서울시가 조직적으로 묵인·방조했는지 여부를 살피고 있는 경찰은 임 특보를 소환 ‘1순위’ 인물로 지목해 수사를 진행해 왔다.

임 특보는 지난 8일 오후 3시쯤 박 전 시장에게 “불미스러운 얘기가 돌고 있다. 혹시 실수하신 일이 있느냐”고 처음 성추행 관련 고소 움직임을 알린 인물로 지목돼 있다. 임 특보는 그간 언론 인터뷰에서 고소 여부나 정확한 내용은 모른 채 박 전 시장에게 질문한 것이라고 입장을 밝혀 왔다. 그러나 피해자가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하기도 전에 박 전 시장에 보고가 이뤄진 까닭에 임 특보가 어떤 경로로 해당 사실을 입수했는지에 대한 논란이 제기됐었다. 임 특보는 8일 저녁에도 박 전 시장과 일부 참모가 함께한 마지막 회의에 참석했다. 경찰은 당시 성추행 관련 논의들이 진행됐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캐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 특보는 피해자가 고소에 앞서 서울시 측에 피해를 호소했으나 서울시가 조직적으로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알고 있을 가능성이 큰 인물이다. 박 전 시장이 피소 사실을 사전 인지한 정황에 대해 수사 중인 검찰도 조만간 임 특보를 소환해 조사할 가능성이 있다.

경찰은 임 특보 소환에 앞서 박 전 시장 유류품으로 확보한 휴대전화 1대의 8~9일치 통화목록에 등장하는 서울시 관계자들을 차례로 조사하고 있다. 또 박 전 시장 사망 전 마지막으로 접촉했던 고한석 전 비서실장을 지난 15일 소환한 것을 시작으로 매일 서울시 관계자들을 불러 사망 경위 등을 조사해 왔다. 이날도 서울시 관계자 2명이 성북서에서 조사를 받았다.

송경모 기자 ss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