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경찰, 박원순 성추행 의혹 고소장 접수 전에 알았다”

입력 2020-07-21 04:06
김창룡 경찰청장 후보자가 20일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김 후보자는 최근 불거진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법적 테두리 안에서 진상규명을 위한 철저한 수사를 하겠다고 밝혔다. 최종학 선임기자

경찰이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 사안을 처음 인지한 시점이 8일 오후 2시28분쯤이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피해자 측이 경찰에 문의전화를 한 때로 지금까지 최초 인지 시점으로 알려졌던 고소장 접수 시간보다 2시간가량 이른 시점이다. 야당은 이를 근거로 서울시에 박 전 시장 피소사실을 유출한 곳이 경찰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경찰은 문의전화가 왔을 당시에는 피고소인이 박 전 시장인지 몰랐다는 입장이다.

20일 열린 김창룡 경찰청장 후보자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미래통합당 권영세 의원은 “(경찰의) 박 전 시장 사건 최초 인지 시점은 오후 4시30분 고소장 접수 때가 아니라 같은 날 2시28분 (피해자 측) 변호사가 서울지방경찰청 여성청소년계 팀장에게 전화한 때”라고 밝혔다.

경찰 최초 인지 시점은 고소사실 유출 의혹의 핵심 쟁점 중 하나다. 서울시가 박 전 시장에 대한 고소 동향을 처음으로 보고한 시점은 8일 오후 3시쯤이다. 임순영 젠더특보가 박 전 시장에게 “불미스런 얘기가 들린다. 뭐 실수하신 게 있느냐”고 물어본 때다. 피해자가 고소장을 접수한 건 4시30분쯤으로 그동안 임 특보가 고소장이 접수되기도 전에 어떻게 그 사실을 알았는지가 논란이 됐었다. 권 의원은 “경찰이 사안을 파악한 시간과 서울시가 파악한 시간이 거의 일치한다”며 “유출이 경찰에서 이뤄졌을 가능성이 크게 유추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후보자는 “그 내용은 보고받은 적이 없다”고 답했다.

서울경찰청과 김재련 변호사는 사실관계를 부인하지 않았다. 다만 당시 피고소인이 박 전 시장인 줄은 몰랐고, 민원실에 고소장이 접수된 시점에서야 비로소 알았다는 입장이다. 김 변호사는 관련 질문에 “민원실 도착 전까지 (통화에서는) 피고소인을 고위 공직자라고만 설명했다”고 말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 역시 “서울시 공무원 관련 성관계 사건을 고소하려는데 가해자가 높은 사람이다”라고만 들었다고 했다.

김 후보자는 “경찰에서 고소사실이 유출된 정황은 없는 것으로 안다”며 “만약 경찰에서 유출된 것이라면 그에 합당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했다.

김 후보자는 또 박 전 시장 관련 의혹에 대해서는 “법이 허용하는 한도 내에서 철저히 수사하겠다”는 원론적 입장을 밝혔다. 수사 범위는 서울시 관계자들의 성추행 방조·묵인, 박 전 시장의 정확한 사망 경위, SNS 등을 통해 피해자와 박 전 시장에게 가해지는 ‘2차 피해’로 한정했다. 김 후보자는 다만 성추행 고소사건 자체는 피고소인의 사망으로 수사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정현수 최지웅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