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소나기 피하자”… 서울, 하반기 분양 73% 7·8월 몰려

입력 2020-07-21 20:50

수도권과 광역시 일대에서 하반기 아파트 분양 물량 중 상당수가 7월에 집중됐다. 여름은 통상 분양 물량이 적어 ‘분양 비수기’로 불렸지만, 올해는 물량이 몰렸다. 정부가 8월 이후 분양가 상한제와 전매제한 등 규제를 시행하기에 앞서, 규제를 피해 서둘러 분양하겠다는 이른바 ‘밀어내기 분양’ 물량이 쏟아진 결과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 분양 예정 물량 25만3952가구 가운데 약 절반(49.4%)인 12만5511가구가 7월에 몰렸다. 특히 서울은 하반기 공급물량 4만2625가구 중 73.0%인 3만1111가구가 7~8월에 집중됐다. 오는 29일부터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이르면 오는 9월부터 분양권 전매 금지가 수도권 주요 지역에서 차례로 시행되기로 하면서 건설사들이 분양을 서두른 탓이다.

분양가 상한제 시행 이후 입주자 모집공고를 내는 단지는 분양가격을 일정 수준 이상 받을 수 없다. 재개발·재건축이 지역 분양가를 띄우고 주변 집값과 분양가에 또 영향을 주는 것을 막자는 취지다. 다만 시세차익 극대화를 노리는 조합과 건축비 계산이 복잡해지는 건설사는 상한제 직전에 분양 물량을 쏟아내고 있다.

이르면 9월부터 시행되는 수도권 및 지방 광역시 민간택지 분양권 전매제한도 밀어내기 분양을 앞당겼다. 정부는 이 지역에서 신규 공급되는 주택의 전매제한 기간을 6개월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까지로 변경했다.

이렇게 되면 청약 당첨 이후 분양권에 웃돈을 얹어 거래하는 ‘분양권 전매’가 사실상 막힌다. 정부가 분양권 전매로 인한 투기로 인해 지역 부동산 시장이 교란되고 공급이 막힌다고 판단한 탓이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