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과 국민의당이 20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인사 주기에 맞지 않는 검찰 인사로 권한을 남용했고 수사 독립성을 해쳤으며 품위를 손상시켰다는 이유에서다. 앞서 야당은 지난 1월에도 부적절한 검찰 인사를 이유로 추 장관에 대한 탄핵안을 제출했으나 처리가 무산됐었다. 법 수호에 앞장서야 하는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안이 제출된 것 자체가 처음이었는데, 반년 만에 또 제출됐다니 어처구니없다. 더 우려되는 것은 이런 불명예 기록이 과연 이번 두 번으로 그치겠느냐는 점이다.
추 장관에 대한 탄핵안 제출은 비단 정치적 이유 때문만이 아니라 국무위원으로서의 처신이 부적절했기 때문일 것이다. 추 장관은 검찰총장과 대립하며 불필요하게 자극적인 언사로 논란을 키웠고, 야당의 비판을 자초했다. ‘검찰총장이 내 명을 거역했다’ ‘총장이 내 지시 절반을 잘라먹었다. 지휘랍시고 일을 더 꼬이게 했다’ 등의 발언이 대표적이다. 보수 언론하고도 맞붙어 ‘여성 장관에 대한 언론의 관음 증세가 심각하다’는 발언도 했다. 하나같이 단어 선택이 부적절했을 뿐만 아니라 권위적이고 또 싸움을 키우려는 의도로 비쳤다. 지난 18일에는 주무 장관이 아닌데도 SNS를 통해 금융의 부동산 지배를 막아야 한다며 ‘금부분리 정책’을 내놓아 뜬금없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추 장관의 일련의 행보와 발언을 보면 마치 뉴스메이커가 되기 위해 안달이 난 사람이 아닌가 싶다.
추 장관이 앞으로는 불필요한 논란에서 벗어나고 장관으로서의 품격도 되찾길 바란다. 언행도 조심해야겠고, 정쟁의 불씨가 되고 있는 SNS 정치도 자제해야 한다. 게다가 야권에서는 내년도 서울시장 출마를 염두에 둔 의도적인 노이즈 마케팅이 아니냐는 지적까지 나오는 만큼 그런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논란을 자초하지 말아야 한다. 굳이 곳곳에 다 끼어들고, 하고 싶은 말 다 하고 싶으면 장관직을 그만두고 정치인으로 돌아가서 하면 된다. 국민은 자기 정치와 시사평론에 열심인 장관을 원하지는 않을 것이다.
[사설] 반년 만에 탄핵안 또 제출된 법무장관, 언행 신중해야
입력 2020-07-21 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