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여당 지지율이 동반 급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부동산 정책에 대한 실망감에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까지 터지면서 핵심 지지층인 여성과 30대의 지지율이 대거 빠진 것으로 분석된다.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는 TBS 의뢰로 지난 13~15일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1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문 대통령의 국정 수행에 대한 긍정 평가가 44.1%, 부정 평가는 51.7%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긍정 평가와 부정 평가 간 차이는 7.6% 포인트로 오차범위(±2.5% 포인트) 밖이다. 총선 전후로 70%를 웃돌던 긍정 평가가 부정 평가 아래로 떨어지는 ‘데드크로스’가 나타난 것이다.
긍정 평가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사태 후폭풍이 일던 지난해 10월 2주차(41.4%)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부정 평가 수치도 조국 사태가 절정에 달하던 지난해 11월 1주차(52.2%) 이후 가장 높다(그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
특히 문 대통령 핵심 지지층인 여성과 30대에서 이탈이 많았다. 여성 응답자의 지지율(긍정 평가)은 42.8%로 지난주 대비 7.9% 포인트 하락했다. 30대의 지지율은 13.9% 포인트나 떨어진 43.1%를 기록했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도 4.3% 포인트 하락한 35.4%를 기록했다. 미래통합당은 31.1%로 두 정당의 지지율 격차가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이는 통합당 창당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여권에 대한 민심 악화는 부동산 정책이 불을 붙였다. 22번째 부동산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급등하면서 민심 이반을 불렀다.
이런 와중에 터진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 사건도 큰 악재가 됐다. 박 전 시장 장례식을 둘러싼 부정적 여론과 민주당과 서울시가 고소인에 대해 ‘피해호소인’이란 표현을 사용한 것도 민심을 더욱 돌아서게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내년 4월 재보선이 서울시장과 부산시장을 함께 선출하는 대형 선거가 되면서 악화된 민심을 되돌리기 위한 여당의 고심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