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성추행 피소사실을 알게 된 경위를 둘러싼 논란이 진실공방으로 치닫고 있다. 고소를 접수한 경찰과 그 사실을 보고받은 청와대가 유출 의혹을 부인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 역시 피해자 측의 동향을 어떻게 인지하게 됐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결국 경찰이 박 전 시장 휴대전화 포렌식 작업과 통화내역 분석, 참고인 조사 등을 통해 피소사실 전달 경로를 역추적하는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15일 현재 유출 경로 가능성이 있는 기관과 인물들은 의혹을 부인하고 있다. 서울시 임순영 젠더특보는 고소 접수 전인 지난 8일 오후 3시쯤 ‘시장님 관련한 불미스러운 일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박 전 시장에게 보고했다. 고소 여부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몰랐다는 입장이다. 임 특보는 박 전 시장이 실종된 9일 오전에야 외부로부터 피소사실을 듣게 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임 특보는 ‘외부’가 어디인지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그가 과거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일한 이력 때문에 시민단체로부터 법적대응 움직임을 알게 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지만 임 특보는 부인했다. 피해자를 보호·지원하고 있는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 측 역시 “서울시 측에 고소 관련 사실을 전달한 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피해자를 대리하는 김재련 변호사는 “8일 오후 2시 전까지는 고소할지 여부조차 정하지 못한 상태였다”며 “고소사실이 유출된 경위를 파악하기 위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선은 다시 경찰로 쏠리고 있다. 서울경찰청은 15일 “고인의 휴대전화 포렌식 수사와 더불어 통화내역 확인을 위한 통신영장 신청 절차도 동시에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통신내역 확인 대상은 현장에서 발견된 휴대전화 1대와 박 전 시장 개인 명의로 개통된 다른 2대다. 경찰은 휴대전화 분석 작업이 변사사건에 한정된다고 선을 긋고 있지만, 이 과정에서 박 전 시장이 피소사실을 언제 어떤 경로로 접하게 됐는지 단서가 나올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정현수 강보현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