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의 차기 당권 주자인 이낙연 의원과 김부겸 전 의원이 15일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의혹과 관련해 국민들에게 고개를 숙였다. 두 사람은 박 전 시장 관련 의혹의 진상 규명 방식을 놓고는 온도차를 보였다.
박 전 시장 관련 이슈에 말을 아껴온 이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피해 고소인과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고인을 보낸 참담함을 뒤로하면서 이제 고인이 남기신 과제를 돌아봐야겠다”며 “피해를 호소하시는 고소인의 말씀을, 특히 피해를 하소연해도 아무도 들어주지 않았다는 절규를 아프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피해 고소인’이란 표현을 쓰면서 “고소인과 가족의 안전이 지켜지고 일상이 회복되도록 경찰과 서울시 등이 책임 있게 대처해주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관련되는 모든 기관과 개인이 진상규명에 협력해야 한다. 민주당도 최대한 협력할 것”이라며 진상 규명을 강조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관련 기관에는 경찰 등 수사기관도 포함될 수 있다”며 진상조사가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해찬 대표가 서울시 자체 진상조사를 촉구한 것보다 한발 더 나아가 진상 규명을 촉구한 것이란 얘기다.
당대표의 입장이 먼저 나와야 한다며 입장 발표를 유보했던 이 의원과 달리 김 전 의원은 한발 앞서 박 전 시장 이슈에 목소리를 내왔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국민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성인지 감수성 측면에서 보면 우리 세대가 갖는 한계가 있는 것 같다”며 “여러모로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김 전 의원은 “고소인이 주장하는 것과 객관적으로 드러날 수 있는 것에 대한 최소한의 진상조사는 필요하다”며 진상조사 기관으로 서울시 인권위원회나 국가인권위원회를 거론했다. 김 전 의원은 “다만 정치권에 와서 공방을 벌이는 것은 고소인은 물론 고인도 원치 않을 것”이라며 미래통합당의 특검 주장에는 선을 그었다. 진상 규명과 관련해서는 일단 이해찬 대표 및 당 기조와 보폭을 맞추려는 것으로 보인다.
김나래 이가현 기자 narae@kmib.co.kr